썰물밀물

학창 시절 경주는 단골 수학여행지였다.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였기에 둘러볼 데가 정말 많았다. 그 중에서 '세계 최고(最古)의 천문대'를 자랑하는 첨성대(瞻星臺)를 구경하곤 놀랐던 기억이 새롭다. 국보 제31호로,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 건립했다. 경주를 상징하는 이정표 중 하나로 꼽힌다. 이름대로 별(星)을 보는 용도였다. 하늘의 움직임을 계산해 농사 시기를 정하고, 나라의 길흉을 점쳤다고 전해진다.

첨성대는 한반도 고대 건축물 중 유일하게 후대 복원이나 재건 없이 창건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된 문화재다. 남동쪽으로 난 창을 중심으로 아래쪽은 막돌로 채워져 있고, 위쪽은 정상까지 뚫려서 속이 비어 있다. 사람이 가운데를 통해 올라가도록 설계됐다. 바깥쪽에 사다리를 놓고 안으로 들어간 후 꼭대기까지 올라가 하늘을 관찰했다고 알려진다.

요즘은 천체에 대한 호기심 등을 느끼는 이들을 위해 전국 곳곳에 천문대가 자리한다. 이들 중 한국천문연구원 소속으로 대구와 경북 포항 사이 보현산 천문대, 충북 단양의 소백산 천문대, 대전의 대덕 전파천문대가 유명하다. 국내 '3대 천문관측소'로 불린다.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게끔 한 이들 천문대는 대형 광학망원경을 통해 신비한 '별의 세계'를 경험하게 한다.

그런데 인천엔 이런 천문대가 없어 아쉬움을 남긴다. 같은 수도권인 서울 노원구와 경기 과천·부천·포천 등지엔 국공립 천문대가 있어 시민들의 천체 관측을 돕는 데도 말이다. 강화군이 이에 착안해 '강화천문과학관' 건립을 추진해 관심을 모은다. 하점면 내 옛 강후초등학교 건물을 활용해 올해 말까지 짓기로 했다. 군은 사업비 100억여원을 들여 연면적 1천420㎡ 규모의 2층 폐교 건물을 용도에 맞게 개조할 방침이다.

강화군은 2021년 문화 재생 사업의 일환으로 인천시교육청으로부터 폐교 시설을 매입하고, 천문과학관 조성 사업을 본격화했다. 구조안전진단 평가에 따라 노후 시설 일부를 철거하고, 건물 리모델링과 함께 신축 공사를 병행한다. 과학관엔 고성능 망원경을 갖춘 천체 관측실을 비롯해 가상의 우주를 탐험할 천체 체험관과 전시·교육실 등이 들어선다. 이제 강화도가 새로운 천체 관측 명소로 자리를 잡을 날이 멀지 않았다.

강화도는 도시의 빛 공해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곳으로 평가된다. 천체 관측에 알맞은 환경을 갖춘 셈이다. 천문과학관의 구체적 시설 운영 방안과 교육 프로그램 계획 등을 촘촘하게 짜야 한다. 전국에 산재한 천문대를 둘러보며 장점을 따오는 일도 괜찮을 듯싶다. 그렇게 해서 천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들에게 더없이 좋은 볼거리를 제공하길 기대한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인하극예술연구회 50년 개항 후 일제 강점기에도 인천에선 연극과 영화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그 역사는 자못 깊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인천지역 연극·영화는 극장과 더불어 관객들을 끌어모으는 데 힘을 쏟았다고 한다. 이렇다 할 문화적 혜택을 받지 못하던 때, 한줄기 희망과 탈출구로서 작용했을 듯싶다.인천에선 이미 1895년 극을 펼치는 협률사(協律舍·경동)가 설립됐다. 국내 첫 극장으로 알려진 애관의 모태이다. 협률사는 단층 창고를 연극장으로 사용했는데, 우리나라 최초 공연장으로 인정을 받는다. 1902년 서울 정동에서 문을 연 협률사(協律社)보다 7년 앞 [썰물밀물] 개항 140년, 다시 깨어나는 인천 “잘 있거라 인천아/이별 후에도 벚꽃은 무사히 피어나렴/머나먼 고향에서 쓸쓸한 밤에는/꿈에도 울리겠지 월미도야/기차는 떠나가고 항구는 희미한데/이제 이별의 눈물로 외치나니/뜨거운 인사를 받아줘요/그대여 고마웠어요 부디 안녕!”인천에 살던 일본인들이 1945년 8월15일 조선 해방으로 떠나기 직전 읊조렸던 노래다. 일본인 상조회가 2차대전 때 불렀던 일본군가 '잘 있거라 라바울'의 곡조에 가사만 바꿨다고 한다. 인천이란 도시를 기획했던 일본인들이 어떠한 심정을 갖고 있었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본보가 기획한 ' [썰물밀물] DMZ와 평화 군대 시절 GP(Guard Post)와 GOP(General Outpost)에서 근무한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휴전선 안에 있는 감시 초소와 남방한계선 철책선 소대단위 초소를 일컫는데, 24시간 경계를 서며 북한군 기습에 대비하도록 한다. 늘 비무장지대를 감시하며 적의 동태를 살피는 게 주 임무다.비무장지대(DMZ·Demilitarized Zone)는 한국전쟁 휴전 협정(1953년 7월) 당시 만들어진 구역. 남·북한은 휴전선으로부터 각각 2㎞씩 병력을 배치하지 않기로 했다. 이런 비무장지대 없이 양쪽 세력이 맞닿아 있으면, 군사적 [썰물밀물] 신흥동 옛 시장관사의 변천 중구 신흥동 옛 시장관사(官舍)는 역사적으로 여러 의미를 지닌다. 일제 강점기인 1938년쯤 지어졌다고 알려진다. 무려 80년을 훌쩍 뛰어넘는 변천의 과정을 겪은 셈이다. 답동로 12번길 10에 위치한 단독주택(토지 면적 496.1㎡·연면적 251.46㎡)으로, 지하 1층·지상 2층 구조의 철근콘크리트·목조 건물이다. 해방 후 시민들은 한동안 '부윤관사'로 즐겨 불렀다고 한다.인천시의 '신흥동 옛 시장관사 기록 보고서'를 보면, 지역 주거사를 고찰할 수 있는 귀중한 값어치를 띠었다고 적었다. 여기엔 관사 [썰물밀물] 인천 해관 창설 140주년 해관(海關)은 오늘날의 세관을 일컫는다. 조선 말 개항 후 창설된 관세 행정기구다. 개항과 함께 외국과의 근대적 무역관계가 형성되자, 인천·원산·부산 등 세 개항장에 설치했다. 처음엔 외국인을 고용해 수출입 화물에 대한 관세행정 사무를 위임했다. 개항 초기 근대문물의 수입창구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컸다고 한다.당시 조선엔 관세 행정·해관 운영 등의 경험이 전혀 없었다. 이 때문에 부득이 외국인을 고용해 총세무사(總稅務司)라는 직책을 주고 해관 창설과 운영 전권을 맡겼다. 이러한 사명을 띠고 고용된 인물이 독일인 묄렌도르프였다. 그는 [썰물밀물] 죽산의 독립운동 서훈 평가 주목 죽산(竹山) 조봉암(曺奉岩·1899~1959년)은 인천이 낳은 걸출한 정치 지도자다. 강화군 선원면에서 태어났다. 일제 때 사회주의 항일운동을 벌였으며, 광복 후 대한민국 건국에 참여했다. 이승만 정권 아래서 1958년 1월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1959년 7월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그 유명한 '사법 살인'의 희생자였다.죽산은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과 국회 부의장을 지냈다. 초대 농림부 장관 시절엔 '유상몰수 유상분배' 원칙의 농지개혁을 주도하기도 했다. 그는 진보당을 창당하고 1956년 3대 대통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