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잘 있거라 인천아/이별 후에도 벚꽃은 무사히 피어나렴/머나먼 고향에서 쓸쓸한 밤에는/꿈에도 울리겠지 월미도야/기차는 떠나가고 항구는 희미한데/이제 이별의 눈물로 외치나니/뜨거운 인사를 받아줘요/그대여 고마웠어요 부디 안녕!”

인천에 살던 일본인들이 1945년 8월15일 조선 해방으로 떠나기 직전 읊조렸던 노래다. 일본인 상조회가 2차대전 때 불렀던 일본군가 '잘 있거라 라바울'의 곡조에 가사만 바꿨다고 한다. 인천이란 도시를 기획했던 일본인들이 어떠한 심정을 갖고 있었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본보가 기획한 '개항 140년 다시 깨어나는 인천'에선 1883년 개항과 함께 밀물처럼 몰려왔다가 1945년 일제 패망으로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일본인들의 모습을 생생히 그려냈다. 개항 후 일본은 인천을 빠르게 잠식해 정치와 경제 주도권을 잡아나갔다. 그들은 해를 거듭하며 '소일본화'하는 인천을 바라보며 꽤 만족한 듯싶다. 일제는 조선인들을 개항장 외곽으로 내몰며 제물포에 '일본 풍경'을 덧씌우는 데 주력했다.

일본이 인천 개항을 요구한 이유론 지리적 이점을 들 수 있다. 단지 조선을 지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중계항으로서 만주를 비롯한 청의 북쪽 무역을 주재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이를 발판으로 삼아 '작은 일본'을 만드는 꿈을 실현할 곳으로 인천을 택했다고 한다. 아직도 인천에 일부 남은 무역의 4대 기관인 금융·운수·보험·창고가 잘 말해준다. 아무튼 일제는 인천에 그들의 상공업을 발달시키는 데 갖은 힘을 쏟아부었다.

인천은 일본 말고도 외국에 문호를 개방하며 서양 문물을 가장 먼저 받아들인 도시로도 유명하다. 서울과 인접한 관계로 일본인은 물론 청나라인과 서양인 등 많은 국적의 외국인 왕래가 잦았다. 1910년 인천부 인구 분포에서 한국인 1만4820명, 일본인 1만3315명, 청국인 2806명, 서양인 70명 등만 봐도 그렇다. 지금도 개항장 인근엔 차이나타운·적산가옥·구한말 서양식 건축물 등이 더러 남아 있다. 인천항을 통해 국내에서 가장 먼저 서구 문물이 대거 들어와 인천을 아름답게 꾸민 까닭이기도 하다.

당시 인천의 화려함은 대단했다고 알려진다. 인천에 한 번이라도 가 보지 못한 이들을 '촌놈'으로 취급하고, 수학여행 장소로 꼽을 정도였다고 하니 그 상징성을 알 만하겠다. 결국 우리 손으로 해내지 못한 개항이었어도, 오늘의 인천을 있게 한 개항이기도 해 뜻을 더한다. 이제 인천 개항 140년을 맞아 그 여정을 되짚어 보는 일은 시의적절하다. 아픈 역사와 번영의 길을 더불어 기록하고, 앞으로 인천이 나아갈 희망의 의미를 찾았으면 한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DMZ와 평화 군대 시절 GP(Guard Post)와 GOP(General Outpost)에서 근무한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휴전선 안에 있는 감시 초소와 남방한계선 철책선 소대단위 초소를 일컫는데, 24시간 경계를 서며 북한군 기습에 대비하도록 한다. 늘 비무장지대를 감시하며 적의 동태를 살피는 게 주 임무다.비무장지대(DMZ·Demilitarized Zone)는 한국전쟁 휴전 협정(1953년 7월) 당시 만들어진 구역. 남·북한은 휴전선으로부터 각각 2㎞씩 병력을 배치하지 않기로 했다. 이런 비무장지대 없이 양쪽 세력이 맞닿아 있으면, 군사적 [썰물밀물] 신흥동 옛 시장관사의 변천 중구 신흥동 옛 시장관사(官舍)는 역사적으로 여러 의미를 지닌다. 일제 강점기인 1938년쯤 지어졌다고 알려진다. 무려 80년을 훌쩍 뛰어넘는 변천의 과정을 겪은 셈이다. 답동로 12번길 10에 위치한 단독주택(토지 면적 496.1㎡·연면적 251.46㎡)으로, 지하 1층·지상 2층 구조의 철근콘크리트·목조 건물이다. 해방 후 시민들은 한동안 '부윤관사'로 즐겨 불렀다고 한다.인천시의 '신흥동 옛 시장관사 기록 보고서'를 보면, 지역 주거사를 고찰할 수 있는 귀중한 값어치를 띠었다고 적었다. 여기엔 관사 [썰물밀물] 장서 100만권 품은 미추홀도서관 세계 어디를 가나 도서관과 박물관은 그 곳의 문화 역량 지표로 삼는다. 그만큼 장서 수와 유물·유적 등을 소중하게 여긴다는 의미다. 책은 지식과 마음을 풍부하게 만드는 양식이요, 유물·유적은 자신들의 선조가 살아온 결과물이어서 더욱 그렇다. 그래서 오늘날 세계 유수의 도서관과 박물관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인천시립도서관도 그런 구실을 톡톡히 했다. 비록 일제 강점기인 1922년 1월 '인천부립도서관'이란 이름을 달고 개관했어도, 시민들의 '지적 목마름'을 해소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에 충분 [썰물밀물] 감성 가득한 인천의 노을 “찢기는 가슴 안고 사라졌던 이 땅의 피울음 있다/부둥킨 두 팔에 솟아나는 하얀 옷의 핏줄기 있다/해 뜨는 동해에서 해 지는 서해까지/뜨거운 남도에서 광활한 만주벌판/우리 어찌 가난하리오 우리 어찌 주저하리오/다시 서는 저 들판에서 움겨쥔 뜨거운 흙이여”민중가요로 잘 알려진 '광야에서'(문대현 작사·작곡)란 곡이다. 1980년대 당시 학생운동권에서 즐겨 불렀다. 이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큰 인기를 누린 이 노래를 듣고 부르며 늘 뭔가 가슴이 벅찼던 추억이 새롭다.여기에 나오는 '해 지는 서해'의 중 [썰물밀물] 강화천문과학관에 대한 기대 학창 시절 경주는 단골 수학여행지였다.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였기에 둘러볼 데가 정말 많았다. 그 중에서 '세계 최고(最古)의 천문대'를 자랑하는 첨성대(瞻星臺)를 구경하곤 놀랐던 기억이 새롭다. 국보 제31호로,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 건립했다. 경주를 상징하는 이정표 중 하나로 꼽힌다. 이름대로 별(星)을 보는 용도였다. 하늘의 움직임을 계산해 농사 시기를 정하고, 나라의 길흉을 점쳤다고 전해진다.첨성대는 한반도 고대 건축물 중 유일하게 후대 복원이나 재건 없이 창건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된 문화재다. 남동쪽으로 [썰물밀물] 인천 해관 창설 140주년 해관(海關)은 오늘날의 세관을 일컫는다. 조선 말 개항 후 창설된 관세 행정기구다. 개항과 함께 외국과의 근대적 무역관계가 형성되자, 인천·원산·부산 등 세 개항장에 설치했다. 처음엔 외국인을 고용해 수출입 화물에 대한 관세행정 사무를 위임했다. 개항 초기 근대문물의 수입창구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컸다고 한다.당시 조선엔 관세 행정·해관 운영 등의 경험이 전혀 없었다. 이 때문에 부득이 외국인을 고용해 총세무사(總稅務司)라는 직책을 주고 해관 창설과 운영 전권을 맡겼다. 이러한 사명을 띠고 고용된 인물이 독일인 묄렌도르프였다. 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