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세계 어디를 가나 도서관과 박물관은 그 곳의 문화 역량 지표로 삼는다. 그만큼 장서 수와 유물·유적 등을 소중하게 여긴다는 의미다. 책은 지식과 마음을 풍부하게 만드는 양식이요, 유물·유적은 자신들의 선조가 살아온 결과물이어서 더욱 그렇다. 그래서 오늘날 세계 유수의 도서관과 박물관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인천시립도서관도 그런 구실을 톡톡히 했다. 비록 일제 강점기인 1922년 1월 '인천부립도서관'이란 이름을 달고 개관했어도, 시민들의 '지적 목마름'을 해소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에 충분했다. 처음엔 우리나라 첫 서양식 건물이던 세창양행 사택 청광각(중구 송현동)을 매입해 세웠다고 한다. 인천부립도서관은 부산·대구·서울에 이어 국내에서 네 번째로 문을 연 공공도서관이다. 해방 후 1946년 중구 율목동으로 옮기고, 1949년 8월엔 인천시립도서관으로 개칭했다.

나이 지긋한 인천인들은 '율목도서관'을 빛바랜 사진 속 장면으로 남길 만하다. 지금이야 공공도서관이 수두룩하지만, 1970년대까지만 해도 율목도서관이 유일했다. 조용하고 아늑한 곳에 위치한 율목도서관에서 다양한 책을 찾아 읽거나 공부를 하는 학생이 무척 많았다. 시민들이 도서관을 가까운 '벗'으로 삼아 아끼던 때를 기억한다.

인천시립도서관은 반세기에 걸친 율목동 시대를 마감하고 2009년 남동구 구월동으로 이전했다. 이름도 미추홀도서관으로 바꿨다. 명실상부한 인천의 대표 도서관으로 자리를 잡아 시민들에게 지식과 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미추홀도서관은 지난해 1월 '도서관 100년' 제막식을 열었다. 행사에서 도서관 측은 앞으로 100년 뒤 시민에게 전달할 메시지와 추천 도서 목록을 타임캡슐에 담아 묻은 '응답하라 2122'를 마련하기도 했다.

미추홀도서관과 5개 분관의 소장 장서가 5월1일 기준 100만권을 넘어섰다. 인천부립도서관 개관 당시 장서는 900여권에 불과했지만, 그동안 폭발적으로 늘어 오늘에 이른다. 2013년부터는 송도국제기구·청라호수·청라국제·영종하늘·마전도서관 등 5개 분관이 차례로 문을 열었다. 미추홀도서관은 장서 100만권 달성을 기념해 이달 말까지 다양한 경품 추천 행사를 진행한다

미추홀도서관의 새로운 100년이 벌써부터 기대를 모은다. 지역에 빼어난 도서관이 있어 시민들에게 큰 자부심을 준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 앞으론 도서관이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아니라, 시민들을 위한 모임이자 문화공간 등으로 뛰어넘었으면 한다. 책이 인생을 바꿀 지대한 영향력을 품고 있는 만큼, 도서관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듯싶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감성 가득한 인천의 노을 “찢기는 가슴 안고 사라졌던 이 땅의 피울음 있다/부둥킨 두 팔에 솟아나는 하얀 옷의 핏줄기 있다/해 뜨는 동해에서 해 지는 서해까지/뜨거운 남도에서 광활한 만주벌판/우리 어찌 가난하리오 우리 어찌 주저하리오/다시 서는 저 들판에서 움겨쥔 뜨거운 흙이여”민중가요로 잘 알려진 '광야에서'(문대현 작사·작곡)란 곡이다. 1980년대 당시 학생운동권에서 즐겨 불렀다. 이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큰 인기를 누린 이 노래를 듣고 부르며 늘 뭔가 가슴이 벅찼던 추억이 새롭다.여기에 나오는 '해 지는 서해'의 중 [썰물밀물] 디아스포라 영화제와 재외동포청 디아스포라(Diaspora)는 '흩어진 사람들'이란 뜻이다. 팔레스타인을 떠나 온 세계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을 이르던 말. 이를 바탕으로 기획된 제11회 디아스포라 영화제(인천시영상위원회 주최)가 오는 19∼23일 중구 애관극장과 인천아트플랫폼 등지에서 열린다. 1902년 우리나라 첫 이민사를 기록하고 있는 인천에서, 영화를 통해 차별과 편견 등으로 소외를 받는 이들의 다양한 가치를 나누고자 마련됐다.이 영화제는 우리 사회 곳곳에 퍼진 디아스포라 관련 문제를 다각적인 관점으로 바 [썰물밀물] 검여(劍如)의 귀향 성균관대 박물관이 지난해 5월 검여 유희강(劍如 柳熙綱·1911∼1976) 특별 전시회를 열어 화제를 모았다. 검무(劍舞)란 주제였는데, 유족들이 기증한 작품들을 전시했다. 유족들은 성균관대에 작품 400점과 습작 600점 등 1000점과 생전에 사용했던 벼루와 붓 등을 아무런 조건 없이 기증했다. 추사 김정희 이후 최고의 명필로 평가를 받는 검여의 최다·최대·최고 '컬렉션'이기에 그 기증은 의미를 더했다.검여는 인천이 낳은 불세출의 서예가로, 서구 시천동 출신이다. 인천시립박물관 관장을 비롯해 인천시립도서관 관장과 [썰물밀물] 인천대 국립화 10주년을 맞아 인천대학교의 역사는 파란만장하다. 지역사회에 파행과 분규로 점철되던 '선인학원' 산하에서 신음하다가 탈바꿈을 시도했다. 1994년 3월1일 선인학원 내 14개 학교가 한꺼번에 시립대학과 공립 중·고교로 변한 일은 국내 교육사에 길이 남을 하나의 '사건'으로 치부된다. 선인학원 시립화엔 희생을 감수하며 벌인 학생·교사·교수·교직원들의 용기와 고장의 명예와 자존심을 곧추세우려던 시민들의 의지가 한몫 단단히 했다.앞서 1993년 6월엔 백인엽 선인학원 설립자가 기증을 다짐하는 증서를 인천시에 넘겼다. 그는 기 [썰물밀물] DMZ와 평화 군대 시절 GP(Guard Post)와 GOP(General Outpost)에서 근무한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휴전선 안에 있는 감시 초소와 남방한계선 철책선 소대단위 초소를 일컫는데, 24시간 경계를 서며 북한군 기습에 대비하도록 한다. 늘 비무장지대를 감시하며 적의 동태를 살피는 게 주 임무다.비무장지대(DMZ·Demilitarized Zone)는 한국전쟁 휴전 협정(1953년 7월) 당시 만들어진 구역. 남·북한은 휴전선으로부터 각각 2㎞씩 병력을 배치하지 않기로 했다. 이런 비무장지대 없이 양쪽 세력이 맞닿아 있으면, 군사적 [썰물밀물] 개항 140년, 다시 깨어나는 인천 “잘 있거라 인천아/이별 후에도 벚꽃은 무사히 피어나렴/머나먼 고향에서 쓸쓸한 밤에는/꿈에도 울리겠지 월미도야/기차는 떠나가고 항구는 희미한데/이제 이별의 눈물로 외치나니/뜨거운 인사를 받아줘요/그대여 고마웠어요 부디 안녕!”인천에 살던 일본인들이 1945년 8월15일 조선 해방으로 떠나기 직전 읊조렸던 노래다. 일본인 상조회가 2차대전 때 불렀던 일본군가 '잘 있거라 라바울'의 곡조에 가사만 바꿨다고 한다. 인천이란 도시를 기획했던 일본인들이 어떠한 심정을 갖고 있었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본보가 기획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