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디아스포라(Diaspora)는 '흩어진 사람들'이란 뜻이다. 팔레스타인을 떠나 온 세계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을 이르던 말. 이를 바탕으로 기획된 제11회 디아스포라 영화제(인천시영상위원회 주최)가 오는 19∼23일 중구 애관극장과 인천아트플랫폼 등지에서 열린다. 1902년 우리나라 첫 이민사를 기록하고 있는 인천에서, 영화를 통해 차별과 편견 등으로 소외를 받는 이들의 다양한 가치를 나누고자 마련됐다.

이 영화제는 우리 사회 곳곳에 퍼진 디아스포라 관련 문제를 다각적인 관점으로 바라보고, 많은 이에게 공감과 상생의 기틀을 세워준다. 이젠 인천을 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영화제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영화제 핵심은 '다름에 대한 관용'과 '공존과 환대'다. 여기에 더해 다시 한번 생각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분석이다.

영화제가 올해 특히 주목을 받는 이유는 아무래도 재외동포청과 얽혀 있어서다. 인천시는 지난 8일 재외동포청 유치 성공을 이끌면서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는 토대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재외동포청은 재외동포 지원 전담기구로, 한국 이민 역사를 품은 인천에서 다음 달 5일 문을 연다.

인천은 그동안 전국에서 재외동포청 유치 활동을 가장 적극적으로 벌였다. 인천에서 국내 이민 역사가 출발했다는 점 등을 들어 재외동포청을 인천에 신설해야 마땅하다는 게 시민들의 목소리였다. 재외동포청은 외교부 산하 첫 청(廳)급 기관으로, 재외동포재단과 각 부처에 흩어진 재외동포 관계 업무를 모두 이곳으로 이관한다.

다양한 이민자가 들고나는 인천은 '디아스포라'란 단어에 꼭 맞는 도시이다. 디아스포라 영화제는 그 뜻을 폭넓게 조망하고, 대중과 다름에 대해 포용할 수 있도록 힘을 쏟는다. 이주·이산·이동·분산 등을 주제와 소재로 삼아 소외를 당하는 이들을 다룬 영화를 주로 골라낸다. 사회·정치·경제·문화적인 이유로 새로운 공동체를 찾아 떠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가 대상이다. 인천시영상위원회는 이에 걸맞은 출품작을 최종 선정해 시민들을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

현재 우리 동포들이 거주하는 국가와 인구는 193개국 732만여명에 이른다. 중국과 인도 등에 이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재외동포 규모라고 한다. 재외동포청이 이렇게 각국에 뿌리를 내린 동포들의 '구심점'으로 자리를 잡아 잘 보살피길 소망한다. 아무튼 디아스포라 영화제가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를 되새기면서, 재외동포청을 유치한 인천에서 하와이 이민 선조 후예들을 좀더 따스하게 맞이했으면 싶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검여(劍如)의 귀향 성균관대 박물관이 지난해 5월 검여 유희강(劍如 柳熙綱·1911∼1976) 특별 전시회를 열어 화제를 모았다. 검무(劍舞)란 주제였는데, 유족들이 기증한 작품들을 전시했다. 유족들은 성균관대에 작품 400점과 습작 600점 등 1000점과 생전에 사용했던 벼루와 붓 등을 아무런 조건 없이 기증했다. 추사 김정희 이후 최고의 명필로 평가를 받는 검여의 최다·최대·최고 '컬렉션'이기에 그 기증은 의미를 더했다.검여는 인천이 낳은 불세출의 서예가로, 서구 시천동 출신이다. 인천시립박물관 관장을 비롯해 인천시립도서관 관장과 [썰물밀물] 인천대 국립화 10주년을 맞아 인천대학교의 역사는 파란만장하다. 지역사회에 파행과 분규로 점철되던 '선인학원' 산하에서 신음하다가 탈바꿈을 시도했다. 1994년 3월1일 선인학원 내 14개 학교가 한꺼번에 시립대학과 공립 중·고교로 변한 일은 국내 교육사에 길이 남을 하나의 '사건'으로 치부된다. 선인학원 시립화엔 희생을 감수하며 벌인 학생·교사·교수·교직원들의 용기와 고장의 명예와 자존심을 곧추세우려던 시민들의 의지가 한몫 단단히 했다.앞서 1993년 6월엔 백인엽 선인학원 설립자가 기증을 다짐하는 증서를 인천시에 넘겼다. 그는 기 [썰물밀물] 인천뮤지엄 파크에 거는 기대 인천시엔 아직 시립미술관이 없다. 전국 특·광역시는 물론 중소도시에도 있는 시립미술관이 존재하지 않아 시민과 관계자들에게 큰 아쉬움을 던져준다. 전시 행사와 체험 프로그램 등을 하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넘어 개탄스러움을 표하기도 한다.개항(1883년) 이후 각종 근대문물을 도입해 수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데도 미술관이 없는 까닭은 무엇일까. 우선 인천시의 의지가 충분하지 못했음을 들 수 있겠다. 도심에서 다채로운 문화예술을 즐길 매개체 구실을 하는 미술관 건립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다는 뜻이다. 시가 나섰으면 될 일을 미루고 [썰물밀물] 상전벽해가 실감 나는 서구 어릴 적 지금의 인천 서구 지역은 '개건너'로 불렸다. 바닷물이 드나들던 어귀를 건너가야 만날 수 있는 곳이었다. 동구 송림동과의 사이에 놓인 나루터에서 거룻배를 타고 가야 했다. 1961년 인천교를 준공하면서 나루터는 없어졌지만, 한동안 인천인들에게 개건너란 이름은 계속됐다. '정겨운 명칭'을 잇고 싶은 집단의식의 표출로 보인다.중고등학교 시절 개건너는 소풍 단골 장소이기도 했다. 그 때만 해도 서구는 전답과 농장 등을 아우르는 전형적 농촌마을이었다. 시내를 벗어나 모처럼 시골 내음을 맡으며 즐거워했던 [썰물밀물] 장서 100만권 품은 미추홀도서관 세계 어디를 가나 도서관과 박물관은 그 곳의 문화 역량 지표로 삼는다. 그만큼 장서 수와 유물·유적 등을 소중하게 여긴다는 의미다. 책은 지식과 마음을 풍부하게 만드는 양식이요, 유물·유적은 자신들의 선조가 살아온 결과물이어서 더욱 그렇다. 그래서 오늘날 세계 유수의 도서관과 박물관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인천시립도서관도 그런 구실을 톡톡히 했다. 비록 일제 강점기인 1922년 1월 '인천부립도서관'이란 이름을 달고 개관했어도, 시민들의 '지적 목마름'을 해소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에 충분 [썰물밀물] DMZ와 평화 군대 시절 GP(Guard Post)와 GOP(General Outpost)에서 근무한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휴전선 안에 있는 감시 초소와 남방한계선 철책선 소대단위 초소를 일컫는데, 24시간 경계를 서며 북한군 기습에 대비하도록 한다. 늘 비무장지대를 감시하며 적의 동태를 살피는 게 주 임무다.비무장지대(DMZ·Demilitarized Zone)는 한국전쟁 휴전 협정(1953년 7월) 당시 만들어진 구역. 남·북한은 휴전선으로부터 각각 2㎞씩 병력을 배치하지 않기로 했다. 이런 비무장지대 없이 양쪽 세력이 맞닿아 있으면, 군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