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정치권에서는 대체로 설, 추석 민심을 중요하게 생각해 왔다. 명절을 맞아 전국 각지 고향을 찾는 아들과 딸들, 동네 젊은이들의 생생한 얘기를 들을 소중한 기회가 됐기 때문이다. 특히 큰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의 명절 민심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졌다. 선거 여론의 응집과 확산에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봤다. 실제로 여야 지도부가 서울역이나 용산역을 찾아서 인사를 하거나, 전통시장 등을 찾아서 '보기 좋은 그림'을 만드는 것도 그 효과와는 관계없이 명절 민심을 고려한 것이다.

올해도 여느 때처럼 여야가 추석 민심을 전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권의 추석 민심을 듣노라면 그저 각 당에서 하고 싶은 얘기만 전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민심이 아니라 사실상 '당심'에 가깝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다. 아전인수식 해석은 기본이고 심지어 '선택적 민심'을 통해 민심을 왜곡하기도 한다. 비록 전략적 발언이라 하더라도 우리 사회의 저변에 흐르는 무서운 민심을 왜곡, 폄하하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모습이 아니다. 그러니 추석 민심을 놓고서도 여야가 한목소리를 내기가 어렵다. 또 안 싸우면 그나마 다행이다.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가 3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추석 민심은 한 마디로 윤석열 정부와 여당은 한심하고, 경제와 민생위기로 국민은 한숨만 나온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반해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3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이번 연휴 기간 국민께서 가장 많이 한 말씀은 역시 경제와 민생을 빨리 회복시켜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추석 민심은 여야 원내대표가 전달한 그대로가 맞을까. 물론 틀린 얘기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딱 맞는 얘기도 아니다. 핵심이 빠졌기 때문이다. 실상은 여당보다 민주당이 더 한심하며, 그리고 윤석열 정부에 경제와 민생 회복을 바라는 이들이 과연 몇이나 있다는 것인가.

비교적 길었던 엿새간의 연휴, 필자도 이곳저곳을 다니면서 생생한 바닥 민심을 전해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명색이 정치평론을 하는 필자에게 '정치' 얘기를 하는 지인은 한 명도 없었다. 여태 이런 일은 없었다. 어딜 가든 “살기가 정말 힘들어졌다”는 얘기가 제일 많았다. 비단 경제적인 이유만이 아니다. 도덕과 상식의 붕괴 앞에 '사람 사는 세상이 무너졌다'는 한탄의 목소리가 압도했다. 간혹 누군가 정치 얘기를 꺼내도 그뿐, 입술을 꽉 다문 채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밤늦게 낙엽 뒹구는 골목길을 나서며 문득 애창 시 한 구절이 생각났다.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이육사 '절정') 혹한의 일제 강점기 때 이육사가 마주한 현실이다. 이번 추석 민심도 '서릿발 칼날진' 그 언저리에 있지 않을까 싶다.

▲ 박상병 시사평론가
▲ 박상병 시사평론가

/박상병 시사평론가



관련기사
[썰물밀물] 정부도 마이너스 통장 쓴다고? 가계 빚이 한국경제의 시한폭탄이 된 지 이미 오래다. 지난 8월 말 기준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073조7000억원이다. 여기에 제2금융권을 포함하면 1616조6000억원에 달한다. 이자까지 톡톡히 챙기는 금융권이야 좋겠지만 가정경제는 위험하다. 과연 얼마나 버텨낼지도 장담하기 어렵다. 더 큰 문제는 이런 현실에서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하고 있다는 점이다. 너도나도 빚내서 부동산 투기에 열을 올리는 게 현실이다. 정부도 사실상 권장하는 모양새다. 그러나 삐끗하면 낭떠러지다. 이러니 '하우스푸어'가 넘쳐난다는 말도 [썰물밀물] 마라케시의 지붕도 아프다 수도 라바트는 몰라도 그 유명한 카사블랑카와 중세 고도(古都) 마라케시가 있는 나라가 북아프리카 모로코다. 스페인 여행에서도 헤라클레스의 신화가 깃든 지브롤터 해협만 건너면 만날 수 있는 나라다. 지중해와 대서양을 가르는 해협이라지만 짧게는 14㎞밖에 안 된다. 인천대교의 해상구간(12㎞)보다 조금 더 긴 정도다. 그래서 한때는 두 대륙 사이에 다리를 놓자는 얘기도 있었지만, 수지가 맞지 않았는지 흐지부지됐다. 해협의 폭은 짧지만 1000m 안팎의 깊은 곳이 있는 해협이어서 다리 놓기도 쉽진 않았을 것이다.마르코 폴로와 동시대에 살 [썰물밀물] 단식의 추억 우리 정치사에서 단식은 정치적 약자가 강자를 향해 날을 세우는 목숨 건 투쟁의 수단이다. 그래서 주로 야권 인사들이, 정치적 승부처가 되는 길목에서 단식투쟁을 벌이곤 했다. 목적과 명분이 뚜렷하고 진정성까지 돋보이면 국민의 큰 응원까지 받을 수 있었다. 그 결과 정치적 목적을 달성한 사례가 적지 않다. 물론 정치적 목적은커녕 냉소나 조롱거리가 된 사례도 수두룩하다. 그만큼 정치인들의 단식투쟁은 국민 여론에 상당한 인상을 남겼다.한국 정치사에서 단식의 추억은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을 빼놓곤 얘기하기 어렵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전 [썰물밀물] 1018 윤석열 신당론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후유증이 간단치 않아 보인다. 승자인 민주당은 말을 아끼며 낮은 자세로 내년 총선을 직관하고 있지만, 충격적 참패를 맛본 국민의힘은 김기현 대표를 호위하느라 그만 길을 잃고 말았다. 혁신위, 조기 선대위 등 소나기 피하는 식의 후속 대책을 내놓고는 있지만 그게 해법이 아닐뿐더러 그 진정성도 신뢰하기 어렵다. 민심을 아전인수식으로 해석하다 보면 남는 것은 궤변 아니면 넋두리에 불과하다. 분노한 강서구 민심이 언제 국민의힘 임명직들을 사퇴하라고 했으며, 조기 총선체제로 가라고 누가 그런 말을 했다는 것인가. 민 [썰물밀물] 가계부채 시한폭탄 터지나 사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이 너무 높아서 우리 경제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는 전망은 10여 년 전부터 꾸준히 나왔던 얘기다. 국제사회에서도 이미 한국의 가계부채가 위험 수준을 넘어 한국경제의 '시한폭탄'이 될 것이라고 지적해 왔다. 올해 3분기 기준으로 한국의 가계부채는 1877조원, 사상 최대 규모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작년 말 기준 108.1%로 세계 2위권이다. 세계 평균이 62% 정도인 점을 참작하면 높아도 너무 높다. 게다가 한국의 가계부채는 대부분 부동산 등 비금융 자산에 집중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