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미래도시 인천
경제·행정·주거·문화기능 집약한 '독립시'

대중교통 중심개발로행동반경 '손바닥 위'

첨단 원시스템 통제미래형 '똑똑한 도시'



■ 컴팩트·스마트 시티

도시의 여러 기능을 한 데 압축해 교통과 환경문제를 풀어보자는 일명 '컴팩트·스마트(Compact·Smart)' 도시를 두고 인천에서 논의가 한창이다. 끊임없이 외곽으로 뻗어나가야 하는 그동안의 도시발전이 한계에 부딪쳤다는 게 공통된 인식이다. 옛 방식을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시도와 제안이 나오고 있다.


Compact

컴팩트·스마트 도시는 한 마디로 압축형 도시다. 어느 한 구역에 경제·행정·주거·문화 등 도시의 각 기능이 집약된다. 기업과 은행, 행정기관, 집, 극장·공연장, 학교 등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한꺼번에 들어선다. 자연스레 건물은 최대한 바닥면적을 좁게 해 초고층으로 올라간다. 도시를 압축하는 첫째 목적은 도시가 유발하는 불필요한 교통을 줄이거나 없애자는 것이다.
기존의 도시는 기업들이 모인 곳과 행정기관이 멀리 떨어져 있고 주거지는 시 외곽 신도시로 밀려날 뿐더러 문화·체육시설 역시 제각각 위치하고 있다. 일일이 승용차를 끌고 다녀야 하고 대중교통이 있어도 여기저기 다니려면 시간도 들고 비용도 든다. 에너지 낭비도 크다. 한 곳에 도시의 기능이 다 들어가고 서로 효과적으로 작용하기만 하면 이런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게 '컴팩트·스마트' 논의다. 일하러 갈 때나 약속장소에 갈 때, 병원을 방문할 때나, 문화생활을 하러 갈 때 차를 탈 필요없이 짧은 거리를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하면 된다.


Traffic

이런 압축방식이 보편화되면 도시는 군데군데 바다 위 섬 같은 도심지가 자리하게 된다. 도심지들은 웬만한 기능은 다 갖췄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도심과 도심 사이는 대규모 대중교통망이 잇는다. 경기도 일산의 자유로처럼 외곽의 '베드타운'과 도심을 연결하는 승용차 전용도로와는 다른 차원이다. 모든 간선도로는 일반 시내버스를 비롯해 '도로 위의 지하철'로 불리는 급행버스체계, 버스형 지상전차 등 각종 신교통 수단을 중심으로 설계되고 건설된다.
간선도로망 지하로는 지하철이 다닌다. 이 같은 도시설계 방식을 부르는 말이 일명 '대중교통 중심개발(TOD)'이다. 도시를 개발할 때 대중교통망을 가장 우선해 구축하고 아파트나 상가 건축, 승용차도로 개설 등 다른 사업은 대중교통 체계에 맞춰 설계하고 시공하는 식이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이 방식이 도입된 지역이 거의 없다. 서울 등의 대도시에서 전철역사를 대형 복합상업지구로 개발하는 정도가 전부다.


Smart

'컴팩트 시티'는 자연스레 도시를 '똑똑하게' 만든다. 고밀도로 도시를 압축하고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기간망을 배치하는 방식은 그동안 근대도시들이 안고 있던 많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량 감소는 교통체증에 따른 에너지와 시간 낭비를 비롯한 경제적·사회적 비용을 크게 낮춘다. 주택과 상가, 유흥가, 업무시설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기존 도시의 비효율도 해결이 가능해진다. 압축된 도시는 '영리한'(Smart) 기술이 도입돼야 효율을 더할 수 있다. 넓은 지역에 퍼져 있던 도시를 좁은 공간으로 응축한 덕에 기술적으로 도시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게 가능해진다.



● 실현가능성은


건축·기술도입비 등 '돈이 문제'


우선 주거와 일, 여가를 한 곳에서 모두 해결한다는 일명 '직주근접'을 구현하는 일이 과제다. 지난 12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인천에선 처음 마련된 컴팩트·스마트 시티 관련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여섯 개의 주제도 모두 건축이나 기술에 대한 것이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인천의 첫 컴팩트·스마트 시티로 설계된 송도국제도시의 상황은 그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직장과 집을 한 곳에 모아놓는다는 취지로 업무·상업시설 바로 옆에 대규모 주거지가 형성됐지만 주민 90% 이상이 그 곳에 직장을 갖고 있지 않다. 컴팩트·스마트 시티를 만드는데 드는 천문학적인 자금마련도 넘어야 할 산이다. 초고층 빌딩을 짓는데에는 절반 높이의 건물 두 동때보다 많게는 2~3배씩 돈이 더 든다는 게 업계의 통설이다. 여기에 '스마트 그리드'로 불리는 각종 첨단기술을 도입하는 비용까지 더하면 소요자금은 수 천억원을 훌쩍 뛰어 넘는다.

/노승환기자 blog.itimes.co.kr/todif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