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고
지난 3월 3일 연세대학교가 송도 경제자유구역 내 송도국제화복합단지에서 개최한 '연세대학교 국제화캠퍼스 봉헌식'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지난 2월 26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2011학년도 약대 신설 및 정원 배정 최종심사결과, 지역대학 자격 논란에 휩싸여 있던 연세대가 인천지역에 배정된 정원으로 약학대학을 신설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인천광역시는 지역 내 흉흉한 여론이 엄존함에도 불구하고 급기야 인천 곳곳에 연세대 개교를 환영한다는 현수막까지 설치하여 그 진위를 의심받고 있다.

연세대가 약대 정원을 받을 자격이 있는가에 대한 최근 논란부터 짚어보자.

지역 내 언론과 시의회, 시민단체들의 지적처럼, 지난해 10월 교과부가 게시한 '2011학년도 약대 정원 신청공고' 중 신청대상 대학에 대한 단서부터가 말썽이다.

교과부는 '공고일 현재, 대학 위치변경 인가를 받은 대학 또는 계획승인을 받아 2011년 3월 1일 기준으로 해당 지역에 이전할 대학(캠퍼스)'에게도 신청 자격을 부여하였다. 이 조건에 해당되는 대학은 연세대가 유일하다는 지적이며, 완전개교도 아닌 봉헌식을 급히 치르려했던 연세대나 이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려는 인천시의 속내가 읽히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연세대는 인천시로부터 송도 경제자유구역 입주를 제안 받아 '연세대학교 국제화복합단지' 건립을 결정했을 때부터 약대 신설을 계획하고 있었을까? 안타깝게도 이를 확인시켜주는 이는 없다. 다만 연세대 SGC 건립을 위한 협약서(2006년 1월) 상에 '을(연세대)은 위 단지 내에 학부학생, 대학원생 및 외국인학생을 포함한 1만명 내외의 학생을 교육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그에 상응한 수의 학생을 유치하도록 한다. … 1단계는 학부교육시설 및 국제화기반시설을 중심으로 건립하고, 2단계는 이공계 연구시설과 국제화캠퍼스를 중심으로 건립한다'로 명시돼 있다. 다시 말해서 약대 신설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는 것이다.

인천경실련은 지난 2008년 7월 연세대 국제화복합단지 건설추진단장을 초청하여 정책포럼을 열어, 지역의 뜻있는 분들이 궁금해 하는 사안인 연세대가 송도 경제자유구역에 무엇을 유치할 것인가를 집중적으로 질문하였다. 그러나 건립 협약서 상의 답변을 넘어서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약대에 대한 어떠한 언질도 없었다. 그리고 지난해 인천에도 약대 정원이 배정되었다는 소식과 함께 시민들이 접한 것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보도자료(2009년 8월 12일)다. '연세대학교와 인천광역시는 2010년 3월 송도국제도시에서 송도 GAC 개교 기념식을 갖기로 하는 등 전체적인 개교일정에 합의했다'는 것과 '연세대는 약학대학의 송도 GAC 개설 신청을 추진하는 등 세브란스병원과의 연계를 통하여 BT분야를 더욱 육성, 강화할 계획이다'라는 것이었다.

항간에 국내 유수대학을 유치하고 그 대학이 운영하는 약대라는 점도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간과할 수 없는 의견이다. 그러나 인천시가 연세대에게 송도 경제자유구역 토지를 조성원가에 공급하여 특혜의혹은 물론 지역 대학과의 형평성 논란까지 감수했던 이유가 현재와 같은 그림을 만들고자 했는지는 짚어보아야 한다.
분명한 규명 없이는 인천시와 연세대의 도덕성 문제뿐만 아니라 지역사회가 받게 될 상처가 앙금으로 남아 지역 통합 및 발전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인천시는 중앙대학교와도 검단신도시 2지구 66만㎡에 이공대학과 1천 병상 규모의 대학병원이 들어서는 '중앙대 인천캠퍼스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부지도 원형지 공급방식으로 추진되는 가운데 지역 언론들은 이번 유치를 두고 '특혜' 또는 '선거용' 논란이 또다시 일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2006년 제4회 지방선거를 앞두고 인천시가 보인 연세대 유치 상황과 흡사하다고 보는 것 같다. 조성원가 및 원형지 공급을 통해 대학 자유도시(?)로 가는 듯한 작금의 현실을 볼 때 오히려 이들 토지가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기업 유치에 쓰일 수는 없는지 자문해 본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