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선 인천시장이 21일 기자회견에서 “시내버스 면허를 받은 마을버스에 대해 2월1일부터 적용키로 했던 요금인상을 유보한다”고 밝힌 것을 환영하면서도 마음 한구석이 개운치 않은 것이 요즘 시민의 심경이다. 그것은 마을버스가 시내버스로 전환되는 목적, 과정, 그리고 요금 체계에 대한 의구심 때문이다.
 단체에서도 그렇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 새로운 제도를 시행하려 할 때는 먼저 이를 알리고 시민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시민의 동의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어떤 취지와 이유로 추진하게 됐는가를 소상히 홍보하고 업계,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참여한 공청회를 열고 합의점을 도출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번 일에는 이런 절차를 소홀히 한 것 같다.
 어느 시민은 “마을버스가 시내버스와 똑같은 요금을 받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항변한다. 또 인하대 어느 학생은 “인하대와 주안역을 운행하는 마을버스는 언제나 만원일 정도로 황금노선인데 여기에다 요금까지 인상해 준다는 것은 학생을 봉으로 아는 처사”라며 불만을 털어놓기도 했다. 인천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마을버스의 시내버스로의 전환 계획이 벽에 부딪침으로써 시 행정 신뢰에 막대한 타격을 입게되었을 뿐 아니라 적지 않은 부작용이 우려되기도 한다.
 말 그대로 시민의 교통편의를 먼저 생각하고 철저히 대비했다면 어떤 장애도 뛰어넘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도 시행을 목전에 두고 궁지에 빠져든 것은 탁상행정으로 일관해온 탓이다. 허울은 그럴듯하지만 이번 인상계획은 노선변경이나 서비스 개선없이 기존노선을 운행하는 마을버스 명칭만 일반버스로 변경, 요금을 올리는 것이어서 시가 업자들을 위한 행정을 펴고 있다는 비난까지 나오고 있다. 새 주차장 확보, 냉난방시설 등 시내버스로 전환된 마을버스 업계의 경제적 부담을 요금인상을 통해 해결하려는 발상부터 잘못이었다.
 최 시장의 기자회견은 정책의 큰 방향을 제시한 것만은 분명하나 과연 어떠한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갈지 궁금하다. 요금체계의 괴리를 어떻게 조율해 나갈 것인가에 우선 관심이 모아진다. 또한 요금인상 유보가 장기화될 경우 기존 마을버스업계가 강하게 반발하리라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지금 요구되는 것은 효율적인 마무리다. 당국은 대다수 시민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똑바로 보기 바란다. 공청회 등을 거치면서 충분한 의견수렴을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