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송도LNG인수기지에 건설할 예정인 생활폐기물 소각시설공사에서 소각방식 채택을 놓고 내부갈등으로 공사를 발주하지 못하고 갈팡질팡하고 있다는 보도다. 쓰레기 소각시설에서 가장 골치아픈 문제가 소각과정에서 다이옥신이란 맹독성 화학물질이 배출된다는 점이다. 다이옥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할지는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인체에 유해한 것임은 분명하다. 따라서 소각방식이 분명하게 검증된 것이어야 하며 다이옥신 검출량이 정확히 조사돼 정책결정에 참고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LNG인수기지 3지구내 8천5백평 부지에 건설되는 `남부광역생활폐기물 소각장""은 오는 2005년까지 1일 500t 처리규모의 소각시설과 하루 200t 처리규모의 음식물자원화시설을 갖춰 연수, 남동, 부평, 남구 등지의 생활폐기물 소각 또는 사료로 자원화한다는 계획이다. 수도권매립지가 오는 2015년이면 매립 완료돼 소각외에 뾰족한 방법이 없는 한 소각장 건설은 중요한 정책적 대안일 수밖에 없다.
 아무리 쓰레기 발생량을 줄인다 해도 하루 수천t씩 쏟아져나오는 엄청난 양의 생활쓰레기는 결국 매립하거나 소각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오는 2005년부터 수도권매립지의 음식물쓰레기 직접 매립이 금지되기 때문에 소각장 건설은 서둘러야 할 현안이다. 하지만 지난 몇년간 소각장 건설과 운영에 있어 유해성 여부와 관련 지역주민들과의 심각한 갈등이 발생, 지자체마다 소각장시설 확충이 난관에 부딪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엔 전국의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 농도가 기준치를 훨씬 초과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소각장 건설과정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인천 남부소각장 건설이 지연되는 사유도 소각방식을 정하지 못해 공사발주를 계속 늦추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스토커 방식이 아닌 신기능방식을 택할 경우 일정기간 검증을 통해 이상이 없다는 판단이 서야 국비를 지원한다는 환경부의 입장은 분명해 보인다. 자그마치 1천4백40여억원의 막대한 사업비가 투입되는 대형사업인데다 시설비의 40%를 국비지원을 받아 건설하는 만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아무리 신기술 소각방식이라 해도 실제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사실이 입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