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을 자전거 타는 도시로
인천에서 자전거를 마음놓고 타고 다닐수 있을까?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자전거 활용실태조사단을 구성하여 인천전지역을 돌아보기 시작했다.

인천에서 자전거 활성화 운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천지역 환경단체, 시민 사회 단체, 시민들이 인천에서 안전하게 자전거 타기를 열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지난 4월 '인천자전거활용실태시민조사단'을 구성하며, 인천 전지역을 돌며, 인천의 열악한 자전거 타기 지원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암울했다.

인천 전 지역에 깔린 자전거 도로는 230km에 달하지만,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자전거 전용 도로는 전무했다. 각종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대형 트럭들이 도로를 점령하고, 매연이 도심을 뒤덮은 상황에서 자전거 타기는 곧 목숨을 답보한 모험이었다. 자전거 도로는 90%이상이 인도 겸용으로 설치돼 있어 보행자와 끊임없는 마찰이 있었고, 자전거 도로에는 차량의 불법 주정차와 불법 적치물로 몸살을 앓고 있었다. 시민들은 2007년에 하나 둘씩 뭉치기 시작했다. 전국 각지에서 2000년부터 자전거 타기 운동이 불 붙기 시작했다. 사실 인천도 예외는 아니었다.

인천시 부평구는 이미 '부평자전거도시만들기운동본부'가 만들어 졌고, 연수구도 구의회와 교사들이 만든 (사)교육을사랑하는사람들21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이 펼쳐졌다. 하지만 거기까지 였다. 자전거 타기 운동이 작은 단위의 지역별로 이뤄지다보니 정책 반영이 잘 되지 않았기때문이다. 인천에는 그 동안 자전거 타기를 제도적으로 뒤받침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인 조례안 조차 제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2007년에는 달랐다. 산발적이고 지역적으로 이뤄졌던 자전거 타기 운동이 범시민 운동으로 확산된 것이다.

인천지역 30여개 환경, 시민 단체 총 100여명의 시민들은 지난 4월부터 9월까지 인천 전 지역을 돌며, 자전거 활용 실태를 조사했으며, 의견을 통합하기 위한 토론회도 4차례나 열렸다. 그 결과 12월7일 '인천자전거활성화조례안'이 제정됐다.

이제 시작일 뿐이다. 자전거 전용 도로가 의무화되고, 전담부서가 행정관청에 신설되지만 시민들의 끊임없는 관심이 없으면 공염불로 끝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전거를 중심으로 한 교통체계 전환과 자전거를 통한 에너지 절약 운동 그리고 시민들의 관심이 관건이다. 인천에서 자전거를 타고 싶으면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어야 한다. 시민들의 그 열망이 7일 조례안 제정과 자전거 도시 만들기 운동으로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