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는 우리나라를 비롯 일본열도와 중국의 양자강 유역에 걸쳐 내리는

특유의 우기를 말한다. 시기적으로 일본이 우리보다 조금 빠르다. 매실이

영글어 갈 때의 단비라고 해서 매우라고 한다는데 우리나라는 대개

6월하순에서 7월중순까지 계속된다.

 장마는 북쪽 오호츠크해 부근의 찬 고기압과 일본 남쪽 태평양상의

따뜻하고 습한 고기압이 대치하면서 전선대가 형성 비가 내리는 현상이다.

이것을 장마전선이라고 하며 거의 이동하지 않는 속성 때문에

정체전선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장마전선 발생의 진원지는 멀리

티베트라는 설이 있다. 고원에 강한 제트기류의 서풍이 부딪쳐 남북의 두

흐름으로 갈라져서는 극동의 고기압을 밀어주는 활성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장마전선이 지날때의 날씨는 전선의 북쪽으로 300㎞까지는 비 또한 그

북쪽 200㎞까지는 흐린 날씨의 계속이다. 어쨌든 이 전선이 남북 두

고기압의 강약에 따라 남북으로 이동하느라 남해안에서부터 빗줄기는

오르내린다. 그러니까 장마기간에 폭풍우가 아닐 경우 그것은 하늘의

은혜일 수 있다. 화단에 조로로 물을 고루 적셔주듯 한반도를 고르게

뿌려주기 때문이다. 이 장마비가 예부터 수경을 해온 우리나라의 벼농사에

요긴한 존재가 된다. 벼의 생육기간중 1천㎜ 이상의 강우량이 필요하다는

사실로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장마는 오랜 기간의 강우이기 때문에 지루하기도 하지만 피해를

동반한다는 것이 그동안의 경험이다. 그래서 예부터 고운 이름을 지어

장마의 횡포를 달래려 한 흔적이 보인다. 일본의 매우(梅雨)라든지 한자의

『단비림(霖)『을 따온 장마의 별칭 임우(霖雨) 따위이다.

그래서인지 지난해의 폭우피해 흔적이 아직 마무리 되지 않았다든가

골프장 건설 현장이 걱정이라는 이야기도 들린다. 『자연은 물을

다스리지 못하는 사람에게 재앙을 안겨준다『고 했던가. 미리

대비하여 장마를 다스리는 슬기가 아쉬운 때이다.

 지난주 제주도 인근에 오락가락하던 장마전선이 북상 1일부터 중부도

장마권에 들어가리라는 예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