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방자치단체마다 지역내 하천을 살리기 위한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문화·사회·경제적 가치만이 아니라 생태적 공간으로써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면서 민·관이 연대해 하천 복원운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이다. 뒤늦게나마 인천시가 사천(死川)이 되어 있는 지역하천을 살리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은 평가할 만하다.
 시는 오는 2007년까지 890억여원을 들여 도심에 있는 승기천 등 6개 하천을 시민들이 접근할 수 있는 친수하천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20일 밝혔다. 이를 위해 오는 7월까지 시민단체 등 민·관·학·산이 망라된 '푸르고 깨끗한 하천만들기 추진단'을 구성, 6개 하천을 자연학습장과 생태서식 공간이 어울어진 자연보전구간으로 조성해 시민 접근이 가능한 자연하천으로 복원시킨다는 것이다.
 하천살리기는 생태복원이 우선되어야 한다. 인천 도심을 흐르는 하천은 산업화로 수질오염이 극심하고 건천화, 콘크리트 복개 등으로 생명이 숨쉴 수 없는 공간으로 변해 버린지 이미 오래다. 더욱이 승기천, 청천천 등은 마구버린 공장폐수로 인해 페놀, 시안 등 독극물이 흐르는 하천으로 변했다. 과거 하천이 지니고 있던 자연생태를 살리고 다양하고 풍부한 생태를 지닌 자연하천을 인위적으로 조성하기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굴포천, 승기천 등 인천지역 주요 하천은 이미 부분적으로 복개돼 도로나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수질오염으로 접근이 어려운 이름 뿐인 하천으로 남아 있다. 복개된 하천일 수록 악취는 더욱 심하고 매탄가스가 가득차 있으며 심한 수질오염으로 어떤 생물도 생존할 수없다. 따라서 하천의 자정능력을 회복시키려면 우선 복개된 하천부터 원래 모습대로 복원하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수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하천을 예전 모습대로 살리려면 무엇보다 시민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도시 하천이 시민들의 휴식공간이자 생태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게 하려면 하천의 복원운동에 범시민적인 협력체제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시민들의 노력 없이는 하천이 문화적·정서적 기능을 갖춘 자연 친수공간으로 복원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