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인천도 예외는 아니었다. 인천시가 지하철과 지하상가 등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도처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오죽하면 ‘사고 공화국’이라는 오명이 붙었을까마는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은 도대체 나아질 기미가 없다. 언제쯤 안심하고 살 수있는 사회가 될지 답답하다.
 인천시는 대구지하철 참사가 발생하자 지난 19일부터 24일까지 인천지하철과 동인천지하상가 등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점검 결과 곳곳에 사고 위험이 내재된 것으로 밝혀졌다. 인천지하철 전동차량은 천장과 바닥, 의자가 모두 화재발생시 고열과 유독가스를 내뿜는 재질로 만들어졌다. 전동차 출입문 비상 개폐장치는 화재나 정전 때 식별하기가 거의 불가능했다.
 또 지하철 역사는 비상유도등이 짙은 연기에는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했고 출입통로와 가스배출 통로가 같아 화재발생시에는 대형 재난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상가의 경우는 상점 대부분이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고 있고, 식당 등 화기사용 상점도 있어 화재 발생 위험이 상존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민들이 매일같이 이용하는 지하철과 자하상가가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고 화재가 나면 대형 사고가 될 우려가 크다는 얘기다. 위험이 크리라는 생각은 했지만 막상 안전진단 결과를 보니 시민들의 불안이 클 수 밖에 없다. 대형 안전사고가 수없이 반복됐음에도 우리사회의 안전불감증이 여전함을 다시 한번 절감하게 된다.
 혹자는 위리사회가 대형 사고에 취약한 것을 ‘돈의 문제’라고 해석한다. 대구지하철 참사를 놓고 보면 전동차 내장재는 불연성이어야 하는데 값이 비싸서 쓰지 못했다는 것이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했는데도 전동차를 진입시킨 사령실 근무자, 승객들을 버려둔 채 혼자만 대피한 기관사의 행동은 무원칙과 비상식으로 설명할 수 밖에 없다. 따져보면 삼풍백화점 참사, 성수대교 붕괴, 인현동 호프집 화재 등 대형 사고는 예외없이 무원칙과 비상식이 가져온 결과였다. 무원칙과 비상식은 기본이 바로 서있지 못한데서 기인한다. 기본을 바로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