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인구가 지난해 말로 1천만명을 넘어섰다는 것은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이런 추세라면 서울시의 인구가 현재 정체되어 있는 점을 감안할 때 2004년 상반기께는 경기도 인구가 서울시 인구를 추월, 전국 최대 자치단체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돼 이에 걸맞은 제도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공룡도를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경기도를 특별도로 승격시키거나 남·북도로 분도(分道)하는 문제도 고려해볼 만하다는 여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기도가 행자부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 현재 주민등록 인구가 내국인 9백92만7천4백81명 외국인 7만3천8백53명 등 모두 1천만1천3백34명으로 도의 인구가 1천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2001년말 9백61만2천36명에 비해 지난 1년 동안 4.1%인 38만9천2백90명이 늘어난 숫자다. 시·군별 인구현황을 보면 수원시가 1백2만4천여명으로 1백만을 돌파했고 성남시가 94만6천여명 고양시 84만여명 부천시 82만1천여명 순이다. 특히 2001년 말에 비해 인구가 크게 증가한 시·군은 용인, 광주, 화성, 수원, 부천시인 반면 과천, 동두천, 가평, 연천 등은 인구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증가는 국토 균형발전 측면에서 볼 때 도시개발과 기능적, 기술적으로 잘 조화되어 나간다면 경제적 효과가 매우 클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인구급증은 여러 분야에 걸쳐 많은 부담과 비용을 필요로 하고 환경·교통문제 등을 야기시켜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다. 그래서 경기도의 인구증가를 소홀히 보아 넘길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물론 경기도가 인구증가에 따른 대체적인 구상은 마련했을 것으로 짐작되나 인구급증에 따른 대비책도 시급한 과제라 아니할 수 없다. 실제로 경기도는 당초 올 7∼8월께나 도내 인구가 1천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택지개발지구에 입주가 이뤄지면서 돌파시점이 앞당겨졌기 때문이다.
 갑자기 늘어난 인구를 적절하게 수용 못한다면 문제는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부는 경기도를 하루속히 특별도로 승격시켜 경기도지사가 서울시와 함께 국무회의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행정수요 폭증에 따른 공무원 증원과 조직개편도 이뤄지도록 뒷받침해줘야 경기도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준비부족으로 용인과 같이 난개발로 인한 피해를 경험해 왔기 때문이다. 수도권정비법 등도 재정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