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차 관계사의 두가지 요구
 대우자동차 관계기업들이 최근 지역내에서 보이고 있는 일련의 모습들은 지역민들을 어이없게 만들고 있다. 심지어 일각에선 이제는 아예 지역사회를 상대로 땅 장사를 하려는 것 아니냐는 질타성 지적까지 터져나오고 있다.
 GM대우차는 지난 12일 해양수산부와 인천시를 비롯해 인천상의 등 지역내 경제유관기관에 인천항 선거내 야적장 일부를 자동차 보관시설로 할애해 줄 것을 요구하는 건의서를 냈다. 자동차를 수출해야 하나 생산기지인 부평공장이 자체 야적장을 갖추고 있지 못한데다 옛 대우시절과 같이 서구 원창동이나 송도 주변에 차량을 야적해 놓고 인천항으로 실어 나르는 것은 물류비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GK대우차의 주장은 이것 하나만 놓고 볼 땐 일견 타당한 듯도 하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 대우차판매(주)가 인천시에 한 투자제의 내용에 견준다면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 구석이 많다.
 대우차판매는 GM대우차의 야적장 부족 운운에도 불구하고 송도 주변에 있는 자사 소유 땅 30여만평에 대규모 특급호텔과 골프장 등을 건립키로 하고 현재 이 땅의 용도변경을 시에 요청중이다. 그야말로 꿩 먹은 뒤 알까지 먹겠다는 것은 아닌지 궁금할 따름이다.
 물론 두 회사는 과거 대우그룹 때와는 달리 법적으로 분리돼 있기 때문에 두 사안을 연계시키는 것은 무리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두 회사는 엄연히 생산과 판매를 분리 전담하는 특수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한 회사가 땅이 없다면 다른 회사 소유 부지를 야적장으로 사용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해야 할 것이다. 이미 대우그룹 시절에도 그리 했던 일이다.
 지역사회와 기업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지역내 행정기관들이 지역 소재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하는 것이 의무이자 도리로 지적되는 것도 이런 까닭이다. 설령 그렇다 해도 일방적으로 받기만 하려는 태도는 곤란하다. 점차 국제사회에서 기업들의 지역사회 참여가 중시되고 있는 것은 양자의 공존(共存)조건이 다름아닌 ‘주고받기’에 있음을 설명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