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2026년 결과 밀접한 연관성
군·구청장 도전 지역 정치인 관심
지역 위원장 행보 맞춰 동분서주
총선서 몸집 키우고 지선 노리기도
“유권자 위한 합리적 선택은 아냐”

2024년 4월10일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 2026년 6월3일 제9회 동시지방선거.

2년마다 번갈아 치러지는 총선과 지선은 한 몸이다. 각 당협위원장과 지역위원장이 공천의 키를 쥐고 있는 만큼 총선 결과가 지선으로 이어지고, 지선으로 세력이 키워지면 총선에서 유리한 지대를 선점할 수 있다.

이번 총선에 '존재감'을 드러내 지선에서 체급을 키우거나 유권자·당원 모집에 나설 예정인 후보가 상당하다.

1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내년 총선에 13개 인천 선거구 예비후보로 등록한 후보는 29명이다. 남동구 을에 7명이 등록했고, 남동구 갑 4명, 동구미추홀 을·부평구 갑·서구 을에 3명씩 이름을 올렸다. 이들 지역구는 현역 국회의원이 정치적으로 위태롭거나 지역위원장이 없고, 선거구획정이 결정되지 않은 곳이다. 내년 총선까지 '무주공산'으로 인식될 수 있는 곳이다.

지역 정치인에게 이번 총선은 2026년 지선과 맞물렸기에 관심이 지대하다. 총선을 통해 '주군'이 바뀔 수 있는 만큼 기초·광역의원 등 풀뿌리 민주주의 정치인은 한시도 가만 있을 수 없다.

A시의원은 원외인 지역위원장의 행사에 늘 함께하고, B구의원은 국회 일정으로 지역 활동에 제약이 있는 지역위원장을 대신해 이른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지역을 돌고 있다. C시의원은 내년 총선에 출마 결심을 세웠다. 지역위원장의 3년 후 지방선거 출마를 계획한 만큼 지역구를 승계해 공백기를 없애기 위해서다.

2020년 총선 때 '국회의원'보다는 '군·구청장'에 관심이 큰 지역 정치인 중 상당수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이 중 대부분은 당 경선에서 떨어졌지만 2년 후 지방선거에서는 기초자치단체장 당선에 성공했다. D구청장은 지난 십수년간 지선과 총선을 오간 끝에 8회 지선에 당선됐다. 특히 기초의원을 시작으로 광역의원에 이어 총선 후 지선에 광역단체장으로 야망을 키워오는 현 단체장도 있다.

역대 인천시장 또한 총선을 활용한 지선 행보가 감지된다. 현직 국회의원을 중도 포기하고 인천시장 출마하거나, 재선에 실패하면 다시 총선을 통해 정치 생명을 잇기 위해 지선에 뛰어드는 방식이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정치신인 혹은 기초·광역의원과 기초단체장 출신이 총선으로 몸집을 키우는 '야망'은 선거의 당연한 이치”라며 “하지만 역대 시장 중 총선을 발판삼아 다시 재선을 노리는 것이 유권자에게 현명한 선택인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2026년 지선은 2027년 대선 직전에 열리는 만큼 대통령에 대한 평가로 지선 결과가 판가름날 것”이라며 “총선과 지선을 번갈아가며 이름을 알리기 위한 도구로 삼는 것은 지역 유권자를 위한 합리적 선택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월요기획/ 총선·지방선거 '따로 또 같이] '전임 인천시장들, 총선 행보 아직 '숨고르기'

/이주영·이창욱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월요기획-총선·지방선거 '따로 또 같이'] 전임 인천시장들, 총선 행보 아직 '숨고르기' “새로운 국회가 만들어지면 저는 긴 터널에 들어간다. 잊히는 것도 두렵고 터널에 들어가 어두워지는 것도 무섭다.”지난 15일 '윤핵관(윤석열 측 핵심 관계자)' 중심인 장제원(국, 부산 사상구) 국회의원이 내년 4월 총선 불출마 선언 직후 열린 마지막 의정보고회에서 한 말이다. 장 의원의 앞날은 '터널'이다. 하지만 '터널'답게 끝이 있다. 3년 후 '지방선거'로 부산시장을 꿰차기 위한 포석으로 읽힌다.2년마다 총선과 지방선거가 엇갈리는 만큼 총선에 낙마하면 지방선거로, 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