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규현 인천문화재단 정책협력실 차장
▲ 공규현 인천문화재단 정책협력실 차장

2024년 총선이 이제 코앞으로 다가왔다. 선거가 다가오면 으레 그렇듯, 전국 각 지역에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현황분석과 정책 제안이 쏟아지고 있다. 그중에 청년정책은 선거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이슈이다. 최근 몇 년 새에 청년정책은 모든 선거에서 가장 전면에 드러나는 주요한 정책이 되었다. 내년 총선에서도 청년 관련 이슈들이 각 당의 정책 제안에서 전면에 대두할 가능성이 높다.

문화예술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지난 7월31일에는 국회에서 '미래 청년예술세대 일자리 창출방안 모색'이라는 주제로 토론회가 열리기도 했다. 문화예술계에서 '일자리'라는 표현은 다소 민감한 단어이지만, 코로나19 이후 '소득 제로'라는 전무후무한 위기를 겪은 예술인들이 많아지면서 예술지원정책에서 '일자리'를 얘기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낮아졌다. 최근 10년 사이에 예술지원정책의 핵심이 문화예술의 근원적 가치인 '예술창작'에서, '예술가의 생존' 문제로 이동하고 있는 것도 이유이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자료(2023.10.10 기준)에 의하면, 인천은 7755명으로 6대 광역시 중에서 두 번째, 17개 광역 시도에서는 다섯 번째로 많은 예술활동증명 인원이 등록되어 있다. 이 중 20대 1538명, 30대 2733명으로 청년예술인이 절반을 넘는다(55%). 예술지원정책 수립 시, '청년예술인'에 대한 고려가 중요해지는 이유다.

2022년에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문화분과에서 실시한 청년예술인 대상 설문조사에 의하면, '코로나19로 인한 문화예술활동 수행 시 어려움 정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높음 28.3%, 높음 44.2%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 기간 동안 문화예술활동 이외의 다른 직업활동을 경험했는지' 묻는 질문에 72.6%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또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문화예술활동을 회복했는지 묻는 질문에는 '아직 회복하지 못했다'는 답변이 47.3%로 나타났으며, '예술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예술활동 이외의 수입'으로 충당한다는 청년예술인이 52.9%였다. 그뿐만 아니라 4대 보험 가입률도 건강보험 63.1%, 국민연금 52.0%, 산재보험 33.4%, 고용보험 34.5%에 그치고 있어,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청년예술인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민들에게 코로나19는 어느덧 잊히는 이슈가 되었지만, 청년예술인들은 본업인 예술창작활동을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더하여, 앞으로 다가올 경기침체와 고금리 문제는 청년예술인들에게 다시 한 번 헤어나기 힘든 파도가 될 것이다. 청년예술인 지원이 단순히 '예술창작활동'에 그치지 않고 '삶의 문제' 전반에 대한 지원으로 확대되어야 하는 이유다. 청년예술인들이 인천에서 성장하고 정착할 수 있어야, '문화도시'를 향한 인천의 행보에 가속도가 붙을 수 있을 것이다.

/공규현 인천문화재단 정책협력실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