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역사적 과정을 보면 국가와 도시 사이에는 끊임없는 헤게모니 쟁취를 위한 보이지 않는 투쟁이 이어져 왔으며, 이 과정에서 국가는 전쟁기재의 역할을 해왔고, 도시는 성장의 소재지로 활동했다. 다시 말해, 국가는 군비가 축적되면 영토 확장을 위해 전쟁을 일으켰고, 도시는 전쟁을 지원하는 성장 도구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리스 제국이 붕괴하면서 아테네가 함께 몰락했고, 로마제국이 무너지면서 대도시 로마의 쇠퇴를 가져왔다. 역사 속에서 오랫동안 국력이 도시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는데, 이런 원리를 무너뜨린 사건이 바로 글로벌 사회의 도래다.

정보통신기술과 물류운송시스템의 발달이 초래한 '시·공의 압축현상', 1989년 동구권 붕괴로 인한 냉전체제의 종식과 함께 형성된 글로벌 사회는 국가기능을 무력화시켰다. 글로벌 사회에서 국가는 글로벌 변화를 주도하기에는 너무 작은 단위인 동시에 글로벌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에는 너무 비대한 조직이라는 것이다. 반면에 글로벌 사회가 도래하면서 급속한 성장을 보인 곳이 있다. 바로 싱가포르와 홍콩이다. 싱가포르·홍콩은 글로벌 변화를 주도하지는 못하지만 글로벌 변화에 신속히 대응한 결과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도시로 부상하였다. 홍콩·싱가포르는 도시지만, 그냥 도시가 아니라 자치권을 보유한 도시(city state)이다. 그리고 홍콩은 엄밀한 의미에서 중국 도시로 자치권이 중국으로부터 보장(허용)된 도시지만, 싱가포르는 어느 나라에도 속하지 않은 말 그대로 도시국가이다. 이런 작은 도시국가가 전 세계 강대국 도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경쟁하고 있다.

근대사회에는 국가경쟁력이 도시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지만, 21세기 글로벌 사회에는 인과관계의 역전현상을 가져와 도시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을 견인하는 사회가 되었다는 것을 홍콩과 싱가포르는 보여준다. 그래서 중국 굴기의 기반을 만든 덩샤오핑(鄧小平)은 '싱가포르 프로젝트'를 수립하여 중국에 싱가포르 같은 도시 1,000개를 세우는 것이 자신의 꿈이라고 했다. 싱가포르가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도시가 되었다면, 인천이 되지 못할 이유가 무엇인가? 글로벌 사회, 도시들 사이에 무한경쟁시대가 도래하였다. '혼자 꾸는 꿈은 단지 꿈에 지나지 않지만, 함께 꾸는 꿈은 현실이 된다'고 존 레넌이 말했다. 인천시민이 모두 하나가 되어 초일류도시 인천을 만드는 꿈을 꾸면 언젠가 반드시 실현될 것으로 믿는다.

▲ 김천권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 김천권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김천권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관련기사
[썰물밀물] 가을과 독서Ⅱ 100세 시대에 사는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배워야 노년에도 지능과 인지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지식은 책을 통해서만 습득되는 것이 아니고, 여행을 통해서도 다양한 지식과 정보가 축적된다. 그래서 누군가 이야기하기를 “독서는 앉아서 하는 여행이고, 여행은 걸어 다니며 하는 독서다.”고 말했다. 글은 책으로만 읽는 것이 아니고, 걸어 다니며 보는 세상이 곧 텍스트(text)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성 아우구스투스는 “세상은 한 권의 책이다. 그리고 여행을 하지 않으면 그 책의 단 한 페이지만 읽은 사람이다.”고 말했다.지금 [썰물밀물] 가을과 독서 지난 3년 동안 코로나로 인해 적막했던 대학 캠퍼스가 새 학기가 시작되니 복작거리며 활기가 넘쳐난다. 역시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 만나서 얼굴 보며 이야기를 나누고 소통해야 사는 맛을 느낀다. 대학에 있으며 가을학기 개강하면 첫 시간에 반드시 묻는 말이 있다. 가을은 어떤 계절입니까? 그러면 대다수의 학생이 '천고마비의 계절' 혹은 '독서의 계절'이라고 답했다.다 맞는 말이다! 가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풍요로운 계절, 더위가 한풀 꺾여 선선해 책 읽기 안성맞춤인 계절이다. 그런데 독서는 가을에만 [썰물밀물] 도시는 입지가 경쟁력이다 불도저시장으로 불렸던 김현옥 서울시장(1966∼1970)은 '도시는 선이다.' 구호를 외치며, 당시 350만이 살던 서울의 한강, 여의도와 영동지구 개발을 밀어붙였다. '도시는 선이다'는 구호는 방사형 도로나 외곽순환도로 등을 포함한 도로교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말인데 김현옥과 친분이 두터웠던 소설가 이병주가 처음 썼다고 한다(전주일보, 2017.10.31 기사 참조).도시에서 길, 도로는 중요하다. 그렇다고 도시는 선(길)만 있는 게 아니다. 선이 있기 전에 점이 있고, 점이 모여, 선을 만들고, 선들 [썰물밀물] 도시:이성과 본능의 타협 공간 니체의 <비극의 탄생>을 읽다가 문득 문학·음악·도시 모두 동일한 원리가 작동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니체는 비극의 탄생에서 그리스 비극(염세적 사고)이 그리스 정신의 총화로 보았다. 그리고 그리스 비극은 아폴론적 예술과 디오니소스적 예술의 혼합과 변용의 결과로, 그리스 정신은 이 두 정신세계를 근원으로 탄생했다고 니체는 말했다. 여기서 아폴론(태양, 빛의 신)적인 것은 이성과 지혜를 상징하며 인간세상의 모든 균형 잡히고 합리적인 형상을 의미하고, 디오니소스(술, 광기의 신)적인 것은 인간의 본능에 따른 신비적이고 비합리적 쾌감과 도 [썰물밀물] 미술관 옆 동물원 심은하와 이성재가 주연으로 나와 잔잔한 로맨스를 선사한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은 활기차고 솔직한 철수(동물원)와 정적이고 내향적인 춘희(미술관), 두 사람의 기이한 만남이 서서히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을 거쳐 마지막에는 함께 같은 방향으로 걸어가는 줄거리를 가진 영화다. 비록 영화는 크게 히트하지 못했지만(?) 한국 멜로영화의 레전드로 꼽히고 있다. 필자가 '미술관 옆 동물원'을 논제로 들고나온 이유는 영화에서도 '미술관 옆 동물원'이 서로 다른 성격의 주인공들 이미지를 담고 있지만,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