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일컬어지는 강화도엔 각종 물산이 넘쳐난다. 고려가 몽고와 싸우면서 수도를 강화로 옮긴 후 많은 지역 특산물이 생겨났다. 굴곡진 역사에 유적·유물도 풍부하지만,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먹을거리다. 뭍에선 인삼·순무·사자발약쑥·속노랑고구마 등이, 바다에선 밴댕이·젓새우·갯장어 등이 유명세를 치른다.

오늘은 강화 순무에 대해 글을 올린다. 둥글넓적하고 회백색 또는 자백색을 띠는 강화 순무는 지역에선 김치 재료로 보편화했다. 그 맛은 매우 독특해 한번 입맛을 들이면 계속 찾게 되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달면서도 겨자향이 밴 인삼맛을 내며, 한편으론 배추뿌리 맛을 느끼게도 한다.

한방에서 순무는 오장을 이롭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기(氣)를 늘려준다고 했다. 씨를 볶아서 기름을 짠 뒤 하루에 한 술씩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눈빛이 영롱해진다고 전해진다.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은 “봄엔 새싹을 먹고 여름엔 잎을 먹으며 가을엔 줄기를 먹는 순무는 황달을 치료하고 오장에 이로우며 씨를 말려서 오래 먹으면 장생할 수 있다”고 기록했다. 강화 순무는 봄에 파종해 6월에 수확을 하고, 7월에 다시 씨를 뿌려 10~11월 거둬들인다. 밴댕이젓과 새우젓 등을 넣어 담근 '순무김치'는 가히 '일품'으로 불린다.

그렇다면 순무는 언제부터 재배했을까? 원산지는 유럽 지중해 연안으로 알려지는데, 우리나라에선 삼국시대부터 키웠다고 한다. 문헌엔 조선시대에 강화도에서 재배했고, 왕에게 진상했다고 기록돼 있다. 특이한 점은 강화를 넘어 다른 지역에서 자라면, 강화도 순무 맛을 전혀 느낄 수 없다고 한다. 질 좋은 강화도 토양과 거센 해풍 등 환경적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고 강화 주민들은 한결같이 말한다.

강화 순무로 담근 김치가 국내 김치 경연에서 최우수 반열에 올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사)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주관한 제12회 대한민국 김치 품평회에서 인천시 6차산업 인증업체인 '강화섬김치'의 제품이 최우수상을 받은 것이다. 이 대회엔 전국 29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김치 전문가(10명)와 소비자(30명)로 구성된 심사단이 품질·위생·안전 평가를 거쳐 선정했다.

지역 특산품인 강화 순무는 김치로 담가 특유의 알싸한 맛을 내는 '인천의 대표 향토식품'이다. 이번에 한식을 아우르는 순무김치 품질의 우수성을 대내외에 알리는 구실을 톡톡히 했다고 여겨진다. 앞으로 강화 순무김치가 국내 소비는 물론 수출 활성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 업계의 관심과 협력을 기대한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역경을 딛고 우뚝 선 재일동포 재일동포를 거론할 때면 파란만장한 역사적 기억과 마주칠 수밖에 없다. 그 수나 삶의 역정 등을 미루어 그들은 아주 큰 '울림'을 주는 존재다. 재일교포는 일제 강점기 시절부터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 국적자와 그 자손을 통틀어 말한다. 이들은 대개 생계를 위해 건너갔거나 2차 세계대전을 앞두고 강제로 끌려갔다.그들은 일본 사회에서 온갖 차별과 억압을 받으며 고통스런 삶을 살았다. 더구나 1923년 관동대지진 때는 '조선인들이 방화·약탈을 일삼으며 우물에 독을 탔다'는 등의 유언비어가 퍼져 무차별 학살을 당하 [썰물밀물] 송학동에서 개항장 역사산책을 중구 송학동 일대는 '개항장 누리길'로 불린다. 인천 개항(1883년) 후 일제 때 조성된 근대 문화 유적지가 다양하게 존재해서다. 바로 옆에 차이나타운과 동화마을 등 먹을거리와 볼거리가 많아 당일 여행 코스로도 안성맞춤이다. 개항장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1883∼1884년 사이 맺은 조계 조약이 눈에 띤다. 조선과 미국·영국·청국·일본·독일 대표 간 체결한 '인천제물포각국조계장정'(仁川濟物浦各國租界章程)이다.각국 조계는 송학동·송월동 등지에 14만평 규모로 형성됐다. 개항장 명성에 걸맞게 각국 대사 [썰물밀물] '돈 바람' 불던 연평바다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어. 연평바다에 어허얼사 돈 바람 분다∼” 경기민요 '군밤타령'의 첫머리 가사를 바꿔 부른 곡이다. 군밤을 주제로 한 노래인데, 뜬금없이 '돈 바람'을 얘기할 만큼 연평도가 호시절을 구가했음을 노래한다. 연평도는 1960년대까지 조기잡이 황금어장이었다. 4~6월 조기철이면 파시가 열려 선원 수만 명이 몰려왔다. 엄청난 현금을 주고받으며 '돈주머니를 베고 자고, 강아지도 지폐를 물고 돌아다닌다'는 말이 나돌 정도로 북새통을 이뤘다고 한다. 1960년대 초등학교 사회 [썰물밀물] '빼앗긴 나라, 잊혀진 존재' 인천시는 지난 2020년 일제 강점기 여자 근로정신대 구술 기록집 '빼앗긴 나라, 잊혀진 존재'를 펴냈다. 인천지역 강제동원 피해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발간했다. 기록집에 따르면 인천에 적을 둔 강제동원 피해자는 4802명에 달하는데, 경기도 강화(현 인천시 강화군)가 본적인 피해자만 5830명이다. 인천에서만 일제에 의해 무려 1만여명이 끌려갔다.기록집은 여러 면에서 아쉽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근로정신대를 일본군 위안부처럼 여기는 탓에, 여성 피해자들이 나서길 꺼려해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시는 [썰물밀물] 빛바랜 올림포스호텔 활용안 아쉽다 우리나라 최초의 호텔은 1888년 개항지 인천에 세워진 대불호텔이다. 그만큼 국내 '호텔 역사'에서도 인천은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다. 한국 근대사에서 대불호텔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고 할 수밖에 없다. 지금이야 지역마다 호텔들이 즐비하지만, 개화기 조선엔 이렇다 할 숙박시설이 거의 없었다. 그래서 조선을 찾은 이방인들은 불편한 잠자리를 견뎌야 했다고 전해진다.경인선 철도가 놓이기 전 인천에서 서울로 가려면 아주 오래 걸렸다. 1883년 개항한 제물포항을 통해 이 땅을 밟은 외국인들은 인천에서 묵어야만 했는데, 대불호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