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 하기에,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할 사람이 많으니라. 내가 이를 가엾이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쉬이 익혀 날로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1443년 반포한 훈민정음(訓民正音)을 현대어로 바꾼 표기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한글은 인류가 사용하는 문자 가운데 그 우수성을 자랑한다. 창제자와 창제 연도를 명확히 밝히고, 창제 정신을 '자주·애민·실용'에 두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제자(制字) 원리 독창성과 과학성에서도 각별해 국제기구에서 그 특성을 공인할 정도다. 한글은 일단 배우기 쉬운 문자로 통한다. 소리글자여서 소리를 알면 쉽게 익힐 수 있다. 24개 자모로 이뤄지고, 그 모양은 소리를 묘사하는 데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다. 아울러 쓸 수 있는 소리도 많다. 한글은 모든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소리도 나타낼 수 있다.

이런 한글의 뛰어남과 각국의 문자를 기릴 세계문자박물관이 인천에서 문을 연다. 오는 29일 송도국제도시 센트럴파크에서다. 인천 최초 국립박물관이기도 한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건립했다. 프랑스·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인 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1만5천㎡ 규모로 세워졌다. 이 곳에선 미술·건축·미디어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 세계 문자의 속성과 체계를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박물관 지하 1층엔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을 주제로 상설전시실이 들어선다. 이 전시실에선 송암 박두성 선생의 한글점자 유품을 비롯한 인천 관련 전시품들도 선보인다. 지상 1층은 '문자의 미래'를 주제로 한 기획전시실과 문자 생성의 원리를 체험 공간으로 연출한 어린이체험실, 지상 2층은 카페테리아 등으로 꾸몄다. 인천시는 세계문자박물관 개관을 기념하기 위해 17일부터 다음 달 9일까지 박물관 앞 잔디광장에서 문화행사를 진행한다. 행사에선 세계 각국 문자로 구성된 7m 높이의 대형 텍스트 큐브 등 문자를 활용한 전시물들이 선보인다. 또 문자 스탬프를 활용한 강화 소창 만들기, 다양한 문자로 구성된 문자 팔찌 만들기 등을 통해 세계 문자를 체험할 수 있다.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은 국내에서 유일하다. 의미 있는 박물관이 인천에 개관하는 만큼, 국내외 방문객들에게 큰 관심과 사랑을 얻었으면 한다. 인천시민은 물론 국민과 세계인들에게 널리 인정을 받았으면 싶다. 인천시도 세계 문자를 아우르는 데 걸맞은 박물관으로 자리를 잡도록 최대한 지원하길 바란다.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죽산의 독립운동 서훈 평가 주목 죽산(竹山) 조봉암(曺奉岩·1899~1959년)은 인천이 낳은 걸출한 정치 지도자다. 강화군 선원면에서 태어났다. 일제 때 사회주의 항일운동을 벌였으며, 광복 후 대한민국 건국에 참여했다. 이승만 정권 아래서 1958년 1월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1959년 7월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그 유명한 '사법 살인'의 희생자였다.죽산은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과 국회 부의장을 지냈다. 초대 농림부 장관 시절엔 '유상몰수 유상분배' 원칙의 농지개혁을 주도하기도 했다. 그는 진보당을 창당하고 1956년 3대 대통령선 [썰물밀물] 답동성당의 역사·문화 공간 탈바꿈 답동성당(중구 우현로 50번길)은 개항기에 지어진 건물이다. 인천에서 처음으로 건립한 가톨릭 성당이다. 프랑스 외방선교회 빌렘이 구한말인 1889년 초대 본당 신부로 부임해 답동 언덕에 터를 마련해 1897년 7월 완공됐다. 당시 서울의 관문이자 외국 무역의 거점으로 삼을 수 있는 좋은 입지적 조건을 갖췄다는 사실을 눈여겨 보았다고 한다.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붉은색 외관·정면 3개 종탑·뾰족한 돔 등이 빼어난 건축미를 자랑한다. 국내 성당 중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힌다. 문화재청에서 1981년 9월 국가 문화 [썰물밀물] '황해문화' 30년 잡지 발행은 결코 녹록하지 않다. 월간이든 계간이든 가리지 않고 다 그렇다. 우선 독자 확보와 재정적인 뒷받침 등 헤쳐나가야 할 일이 무척 많다. 책 내용이 어줍잖으면 독자와 구독료를 잃고, 나중엔 폐간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어려운 가운데서도 30년 동안 꾸준히 발행에 힘을 쏟았다면, 높이 살 만하겠다. 그것도 서울이 아닌 지방에서 지속적으로 나온 잡지는 아주 드물다. 아니, 몹시 희귀할 정도다. 그만큼 우리 '잡지 생태계'에서 30여년을 버틴 세월이야말로 '파란만장' 그 자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