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범준 사회부장.<br>
▲ 박범준 사회부장.<br>

인천 서구가 인구 '60만명' 달성을 앞두고 있다. 인천에서 60만 기초단체가 탄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구 역사는 1988년 1월 북구에서 서구가 분구되고, 서구청이 개청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서구는 법정동 12개(행정동 10개)에 15만4603명이 거주하는 중소도시였다. 같은 해 5월에는 자치구로 승격됐다.

이후 서구는 잇따른 도시개발과 인구 유입으로 규모가 점점 커졌고, 올 2월 기준 법정동 21개(행정동 23개), 59만6063명의 대도시로 성장했다. 특히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절벽 위기 속에서 60만명 달성을 눈앞에 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지난해 인천지역 인구 증감 현황을 살펴보면 인천이 전체적으로 1만8164명이 증가할 수 있었던 데는 서구 역할이 컸다. 10개 군·구 중 5개 구가 인구 감소, 3개 군·구가 소폭 상승에 그쳤던 상황에서 서구는 무려 '3만1671명'이 늘어나 중구(8843명 증가)와 함께 도시의 양적 성장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지금도 서구에서는 신도시 개발과 교통망 구축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도 성장판이 열린 상태로 인구수 고공 행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구가 늘어나면 그만큼 복지와 행정, 일자리 등 각종 수요도 증가한다. 도심 곳곳에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지만 문화·체육시설이 태부족한 것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다. 주민들이 서구에선 잠만 자고, 정작 소비와 문화 향유는 서울 등 다른 지역에서 하게 될 공산이 크다.

이렇게 되면 대규모 인구를 기반으로 한 지역 경제 활성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도시 자체가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더 나아가 '지역 특성에 맞는 복지 정책' 수립·시행도 가장 큰 걱정거리가 된 지 오래다. 복지는 사람의 척추처럼 도시 전체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튼튼할수록, 짜임새가 좋을수록 복지를 기반으로 도시는 흔들림 없이 지속 성장하게 된다. 사람마다 생김새와 성격이 다르듯 도시도 인구수와 돌봄 유형이 다르기에 알맞은 복지 정책을 입어야 한다. 과거에는 국가가 요람에서 무덤까지 양질의 돌봄 서비스를 공급했다면, 이제는 그 역할이 지자체로 넘어왔다. 지자체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복지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주민들 생애 주기별로 꼭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서구에는 아직 복지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없다.

복지 전문가 없이 일반 공무원이 복지 정책을 수립해야 하는 상황이다 보니 서구만의 특별한 정책을 내놓지 못한다. 주민에게 어떤 복지 서비스가 필요한지 등 정확한 진단과 함께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선 복지재단이 필요하다. 적정한 인원과 재정으로 재단을 운영하면서 구 복지 예산이 허투루 쓰이지 않도록 철저히 집행한다면, 그만큼 구 살림살이를 아끼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은 없을 것이다.

이런 중요성에 민선 7기 더불어민주당 이재현 구청장에 이어 현 국민의힘 강범석 구청장까지 여야 가릴 것 없이 서구복지재단 설립을 추진해왔다.

35년 전 15만여명의 중소도시였던 서구는 이제 인천 성장을 이끄는 명실상부한 대도시가 됐다. 구 집행부와 서구의회가 이런 빠른 성장세에 대비하지 않고 관망만 하고 있다면, 미래 주민들은 제때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누리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촘촘하고 질 높은 복지 서비스를 통해 주민 삶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들이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

/박범준 사회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