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현자유시장(양키시장) 김문수 상인, 2015년.

어두운 바람이 동인천 양키시장의 골목을 휘돌아 나온다. 좁은 사이로 난 통로 곳곳에는 희망을 잃지 않고 성실하게 삶을 살아가는 상인들이 있다. 7년 전 만났던 송현자유시장(일명 양키시장)의 부흥사 김문수 할아버지의 마지막 소망은 시장이 '개발되는 것'이었다. 2022년 8월31일 오늘은 송현자유시장 상인들이 개발방향에 대한 모두의 합의를 이끌어 내기로 한 날이다.

'재생'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는 '낡거나 못 쓰게 된 물건을 가공하여 다시 쓰게 함'이다. 인천의 대표적인 구도심 개발 사업인 '동인천역 주변 재정비 촉진지구'는 푯대 없이 지난 15년 간 표류했다. 구도심 재생을 위한 의미대로라면 '낡거나 못 쓰게 된 동인천역 주변을 다시 가공해 잘 쓰게 만드는 사업'일 것이다. 긍정적인 의미임에도 이렇게 오랜 시간 표류한걸 보면 분명 긍정적이지 못한 저간의 사정이 있었겠지만 기다리는 상인들에게 그 긴 세월은 너무도 혹독한 시간이었을 거다.

2007년 인천시가 추진한 '동인천역 주변 재정비 촉진지구'는 개발 방식의 문제로 이견이 지속되어왔다. 핵심은 사업성 확보인데, 민간개발이냐 공공개발이냐를 놓고 송현자유시장 상인 등으로 구성된 ㈜중앙상사가 내부적으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시 당국도 적극적인 조율에 나서지 못하면서 사업은 오랜 시간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 이 와중에 성실하게 살아오던 양키시장 상인들은 하나둘씩 생존을 위해 떠나거나, 연로한 탓에 생을 마감한 분들도 있다.

동인천역의 옛 명성을 되찾고 일대의 상권을 살리자는 취지로 인천시가 추진한 사업이지만 명성은 간데없고, 상권은 죽어갔다. 사람이 거의 찾지 않는 출구 없는 양키시장에서 상인들은 팔리지 않은 상품을 놓고 오늘도 손님을 기다린다. 그 모습을 볼 때마다 견디기 힘든 안타까움에 가슴 한 편이 먹먹해 진다. 오랜 기다림에 대한 보상이 이제는 그들에게 돌아가기를 애타게 기도하는 8월의 마지막 날이다.

▲ 김성환 포토저널리스트.
▲ 김성환 포토저널리스트.

/김성환 포토저널리스트



관련기사
[김성환의 사진이 꿈꾸는 세상] 다시 파시(波市)를 꿈꾸며 북성포구는 한때 싱싱한 꽃게와 새우 등을 사러 오는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던 곳이다. 바다에서 갓 잡아 올린 해산물을 고깃배 선상에서 흥정하고 거래하는 광경이 늘 펼쳐졌다. 이른바 '선상 파시(波市)'는 도심 속에서 보기 드문 재미난 구경거리가 되었다. 생선을 사지 않더라도 일부러 구경삼아 포구에 오는 사람들이 많았다. 싱싱한 횟감과 생선을 값싸게 살 수 있고 비릿한 바닷바람도 쐬니 발걸음이 늘 이어졌다.제철을 만난 싱싱한 해산물이 미처 육지로 올라오기 전, 선박이 엔진을 끄자마자 사람들은 배 위로 서둘러 올라갔다. [김성환의 사진이 꿈꾸는 세상] 기억하고 보존해야 할 '1780호' 건물 부평 캠프마켓 내 1780호 건축물 존치 문제가 논란으로 떠올랐다. 인천시는 이 건물의 국방부 철거 작업 착수 이후 발생한 시민사회의 갈등 해결을 위해 '캠프마켓 1780호 건축물 현안 소통간담회'를 어제 12월6일 열었다.앞서 지난달 7일부터 캠프마켓 내 조병창 병원 건물에 대한 국방부의 철거작업이 시작됐다. 뒤늦게 이 사실을 인지한 인천시민사회단체는 시에 강하게 항의했다. 11일, 조병창 병원 건물(1780호) 철거를 국방부가 잠정 중단했다. 현재까지 공사가 미뤄지는 중에 인천시가 소통간담회를 연 것이다. 당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