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해윤 사회부 기자.
▲ 박해윤 사회부 기자.

절차가 그래요. 법이 그래요. 저희라고 별수 있습니까. 며칠간 부쩍 어촌 관련 취재가 많아지면서 덩달아 행정기관에서도 메아리 같은 답변이 돌아왔다. 면세유 가격 폭등으로 인한 어민들의 한숨, 잠수기 어업 한시 허가를 원하는 마을 어촌계의 외침, 개발로 얼룩져 어업 터전을 잃은 사람들의 목소리. 취재 사안은 다 달랐는데, 관계 기관들은 한결같은 태도를 보인다. 이제는 이같은 말들의 향연이 익숙해지는 지경에 이르른 웃픈(?) 상황에 처했다.

항간에는 어민이고 농민이고 매일 불만이고, 이들의 민원에 공기업이고 행정 관청이고 너무 힘들다는 푸념이 이어진다. 그럴 때마다 '오죽했으면 그럴까요'라고 반문한다. 바다를 터전으로, 땅을 터전으로 매일 새벽같이 일어나 생업에 뛰어드는 이들은 생업 외 것들에 관심을 기울일 시간이 없다. 그런데도 이들이 관공서로, 중앙 정부로, 법원의 판사 앞으로 바다가 아닌 아스팔트로 향했던 이유는 생업이 위태롭기 때문이다.

언론을 찾아 하소연을 늘어놓는 이유는 탁상에서 현장 상황을 모르고 만든 정책으로 장벽을 느끼기 때문이다. 적극 행정, 밀착 행정을 각 관공서에서는 캐치프레이즈로 언급하고 있지만, 현장의 주민 온도는 이와 다르다. 법과 제도를 벗어나 위법을 저지르는 것은 아니 될 일인 걸 누구보다 잘 안다. 그런데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는 법과 제도의 한계에 갇혀 '안된다'만 되풀이할 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이를 해석해 대안을 찾는 이가 없기 때문이다.

오는 27일과 28일 길었던 지방선거의 마무리를 알릴 사전투표가 진행된다. 현장의 어민들은 정당 색깔, 특정 이념을 우선 제쳐두겠다고 했다.

선거철만 되면 소통하자던 후보들이 당선되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현장이 아닌 사무실로 돌아가지 않았으면 한다고 했다. 그저 소통할 수 있는 지도자를 원한다고 했다.

/박해윤 사회부 기자



관련기사
[현장에서] 시민들의 귀와 입 풀뿌리 민주주의의 최전방. 지역의 작은 여론도 확성기처럼 크게 듣기 위해 노력하는 곳. 정치라는 어려운 분야를 일상생활과 함께하도록 돕는 시민들의 귀와 입.정치부로 발령 난 후 3주째에 접어든 지금. 경제, 건설, 교통 등 인천시의 굵직굵직한 사업들을 마주하며 혼란을 겪을 때마다 인천일보 홈페이지에 들어간다. '인천일보는'이라는 카테고리에는 신문사를 구성하는 부서별 특성을 소개하고 있다. 앞서 나열된 설명은 현 정치부(구 자치행정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혹자는 거창하다 볼 수 있겠다.하지만 이 거창한 목표는 시가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