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삼 한국형 블록버스터에 대한 짙은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그 결정적 계기는 공히 총제작비 80억원이 투하되었다는 `예스터데이""(정윤수)와 `아 유 레디?""(윤상호) 두 편. 80억원이라면 대략 1백만(이하 서울기준) 가량은 들어야 손익분기점을 맞춘다는데, `예스터데이""는 겨우 12만 여명만을 모으는데 그치고 만 것이다. `2009 로스트 메모리즈""(이시명)가 88만여명을 동원하고도 작지 않은 실망을 야기시킨 것에 비하면, 실로 처참한 흥행성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영화의 재앙에 대한 반작용에서일까, 어제 선보인 `아 유 레디?""를 두고서는 개봉 훨씬 전부터 실패를 예단하는 비판성 기사 및 리뷰들이 줄을 이었다. 모 중앙일간지 기자는 `한국형 블록버스터 낙제점"" 취지의 기사에서, 다짜고짜 `도대체 80억원을 어디에 쓴 거야?""라는 조롱조의 물음으로 시작하기도 했다. 영화에 대한 시사회에서의 관객 반응이라며. 나 역시 일반시사회에서 영화를 보고 나서 그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었다.
 내가 영화의 제작비가 제법 부풀려졌을 거라 지레짐작하는 까닭은 그래서다. 순제작비를 60억원이라고 가정해보자. 영화의 승부수인 컴퓨터그래픽 작업에 25억원인가 투여되었다면, 어지간한 영화 한편 거뜬히 만들고도 남을 나머지 35억원은 어디에 쓴 걸까. 영화에는 제작비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그 흔한(?) 스타-김정학, 김보경, 안석환, 이종수, 천정명, 박준화 등 출연배우 중 그 누구라도 자신이 스타라고 자부한다면 나의 무례를 용서해주기 바란다-가 단 한명도 등장하지 않기에 하는 말이다.
 정작 심각한 문제는 이런 실망감이 장선우의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이나 민병천의 `내츄럴 시티"" 등 향후 선보일 화제의 한국형 블록버스터로 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화를 보기도 전에 보나마나 뻔할 것이라는 편견이 작용한다면, 그건 한국 영화계 전반에 크나 큰 불행이기 때문이다. 문득 제작비 부풀리기 관행을 중단하는 건 어떨까, 아니 제작비를 줄여 발표하거나 아예 공포하지 않는 건 어떨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해본다. 그렇다면 당장 거액의 제작비로 인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기대감을, 따라서 실망감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을 테니까.
 솔직히 난 현 천박하기 짝이 없는 우리 영화 풍토에서는, 다분히 엘리트(주의)적인 평론가 및 저널리스트들은 말할 것 없고, 높아질 대로 높아진 관객들의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한국형 블록버스터가 출현하는 건 십중팔구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는 편이다. 물론 자기비하요 지나친 역설이겠지만, 내 진심이 적잖이 담겨 있는 게 사실이다. 그래 난 감히 주장한다. 우선 우리가 할 일은 한껏 인플레된 기대치를 한층 낮추는 것이라고.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