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생소한 GTX로 인천이 연일 시끄럽다. 그 D노선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GTX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다. 기존 지하철보다 더 깊은 땅속에서 시속 100km 이상으로 운행하는 새로운 광역교통수단이라고 한다.

아직 만나보지 못한 교통수단이지만 수도권 전역을 1시간 이내에 연결한다는 사업 취지에 서울 접근성을 이유로 인천, 경기지역 주민들이 반기고 있다.

GTX는 A(경기 파주 운정∼화성 동탄역)노선, B(인천 송도∼경기 마석역)노선, C(경기 양주∼경기 수원역)노선이 결정된 데 이어 현재 인천과 경기를 뜨겁고 달구고 있는 D노선은 국토교통부가 오는 6월 중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해 10월 인천시는 GTX-D 노선안을 발표했다.

영종 인천공항과 청라, 검단과 계양을 경유하는 'Y자'형태다. 총 사업비가 10조원이 넘지만 주민들의 모든 요구를 받아 노선안을 그렸다.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제1여객터미널∼영종도∼청라∼가정∼작전∼부천종합운동장∼서울 남부∼하남 노선과 경기 김포 통진∼장기∼인천 검단∼인천 계양∼부천종합운동장 등 2개 노선이다.

인천시는 당시 Y자 형태가 최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고 했지만 이를 믿는 주민들은 얼마나 됐을까. 인천시의 이런 결과가 서구 지역 주민들의 각기 다른 요구를 모두 받아주기 위한 이른바 2022년 선거용이라는 주장까지 나왔다. 사실 사업 실행의 최종 결정은 국토교통부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후 국토부 공청회에서 Y자 노선이 물 건너갔음을 알게 된 주민들은 지금까지 줄기차게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상대 노선으로 인해 제 동네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판단에 이르자 지역 간 비방도 계속하고 있다.

루원·청라·영종 주민들이 기자회견과 집회 등을 이어가고 있고 검단 주민들은 김포 주민들과 함께 뭉치는 등 각자 동네에 유리한 노선안을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선거 공약까지 맞물리면서 인천시 행정이, 인천지역 정치권이 민심을 두 동강 내 버렸다.

인천지역 민심이 쪼개지는 상황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분위기다. 지역 정치권이 내년 잇따른 선거에 Y자 노선을 유리하게 봤다면 현재 분위기로는 오판이다.

인천시와 지역 정치권은 그동안 무엇을 했나. 송도를 기점으로 한 GTX-B 노선 역시 순탄하게 사업 확정을 짓지 못했다. 이런 분위기에서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GTX-D Y자 노선은 어떨지 상상이 간다. GTX-B 이상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누구나 예상 가능하다.

그러나 결국 인천이 철저하게 빠진 GTX-D 노선안이 공청회에 공개됐고 주민 반발은 뻔한 수순이었다. 주민들은 정부와 정치인이 인천을 패싱했다고 주장했고, 인천 정치인과 행정이 무능력하다고 소리를 높였다. 분위기가 심상치 않아서일까. 부랴부랴 높으신 분들이 나서 기자회견에 성명서 발표, 1인 시위까지 벌이고 있지만 주민들의 마음을 달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8일 박남춘 인천시장과 인천 여야 국회의원들이 GTX-D노선의 Y자 노선 원안 반영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지만 이 행사가 그저 쇼로 끝날지 아닐지는 국토부 결정에 달렸다.

수년간 인천은 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부산에 대비해 성장발전이 크다고 자평해 왔다.

과연 성장발전을 위한 전략은 있었나. 신도시를 건설해 놓고도 변변한 교통편의가 없는 주민들이 GTX 연결을 강력히 주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검단신도시의 경우 인천지하철 2호선을 연결하더라도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곳이 있을 뿐 아니라 서울 연결은 엄두도 못내 주민들은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을 끊임없이 주장하고 있다. 청라국제도시 역시 개발 초기부터 나왔던 서울지하철 7호선 연결은 이제야 시작할 기미를 보이고 있다. 뒷짐 진 교통 정책이 오히려 주민들의 반발을 키운 셈이다.

인천 서구만 해도 루원, 청라, 검단 등에서 대규모 인구 유입이 예상되고 있다.

사람만 많아진다고 경쟁력 있는 도시로 착각하면 큰 오산이다. 지역 발전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치밀한 전략으로 도시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 그야말로 전략 없는 선심성 정책은 허공에 뿌린 안개이며 민심만 갈라놓을 뿐이다.

인천에 진정 애정있는 이는 누구인가. 애정없는 뒷북 쇼가 주민들의 뒷목만 잡게 한다.

주민들이 길 위에 서서 목소리를 높이게 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이은경 사회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