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1200명 감소 꼴인 7366명
총 295만명 붕괴땐 조정 불가피

전국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늘어나는 대도시였던 인천이 반년째 계속되는 인구 감소로 '295만명 붕괴'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감소세가 이어지면 인천시 조직이 축소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7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달 주민등록인구 수는 모두 295만63명이다. 지난해 11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295만7429명에서 7366명 줄어든 숫자다. 한 달에 1200여명꼴로 인구가 감소한 셈이다.

그동안 인천은 대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인구가 늘어나는 도시였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보면 인천 인구 수는 295만7026명으로 2018년보다 2384명 증가했다. 7개 특광역시 가운데 인구 증가폭을 보인 도시는 인천이 유일했다. 지난해 6월 통계청이 내놓은 시도별 장래인구추계에서도 인천은 2035년까지 305만명으로 인구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경제활동을 주도하는 만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 감소세가 가파르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우려가 나온다. 지난달 기준 생산가능인구는 218만2089명으로, 6개월 전인 지난해 11월보다 1만6401명이 줄었다. 1955년부터 1963년까지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생산가능인구 구간을 벗어나며 생기는 전국적 추세로도 볼 수 있으나, 경기도는 같은 기간 생산가능인구 3만7869명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경기도 전체 인구 수는 줄었지만 생산가능인구 수는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올 들어 인구 감소세가 본격화되며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이대로 감소세가 이어질 경우 시의 실·국·본부 조직 수를 줄여야 하는 상황까지 예측되는 까닭이다.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 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시는 현재 광역시 300만~350만명 구간에 해당하는 15개 실·국·본부를 둘 수 있다. 하지만 최저 인구 기준선인 295만명 인구 수를 맞추지 못하면 250만~300만명 구간인 12~14개로 수를 줄여야 한다. 여기에 시·도 특례 규정에 따라 보장되는 추가 기구까지 2개에서 1개로 줄여야 할 수도 있다.

김광용 시 기획조정실장은 최근 인천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에서 “(인구 정책을 두고) 여러 고민을 하고 있다. 최대한 충격 없이 운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