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 민족이 수수료를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변경한다고 해서 야기된 논란은 자영업자들의 반발을 낳았고 이에 대해 경기도 이재명지사는 공공배달앱을 만들어 독과점 기업의 횡포를 막겠다고 나섰다.

경기도의 공공배달앱에 대해서 정부가 나설 필요가 있느냐는 등의 또다른 논란을 낳고 있다. 외식 관련 협회 등에서도 공공배달앱을 만들었으나 실패한 사례도 있다.

공공배달앱이 성공하려면 몇 가지 전제조건이 있다.

첫째,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에게 혜택이 있어야 한다. 현재 요기요는 12.5%의 수수료를 받고 있고 배민은 수수료를 5.8%로 책정했다가 철회했다. 자영업자에게 수수료가 없는 배달앱은 분명 희소식일 것이다. 자영업자들이 환영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둘째, 소비자의 참여가 있어야 한다. 자영업자들이 참여해서 배달앱을 만들어도 소비자가 배달앱을 사용하지 않으면 소용없는 노릇이다. 소비자의 참여를 유인하려면 배민이나 요기요의 성공요인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소비자가 배민이나 요기요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많은 할인쿠폰과 할인정책들이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은 주문하기 전에 관련 할인쿠폰이 있는지 먼저 찾아본다. 소비자들에게 주는 이러한 할인정책 때문에 소비자들은 배민이나 요기요를 통해 주문하고 배달앱 회사들은 매년 수백억원대의 프로모션 비용을 사용한다.

이 부분은 자영업자들이 수수료 인하폭 만큼 또는 그 이상의 할인정책을 시행한다면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소비자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은 배달비를 낮추는 것이다. 오토바이 배달 이외에 최근 생겨나고 있는 저렴한 도보배달이나 자전거 배달을 활용하는 것이다.

친환경 배달을 표방한 도보배달은 현재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해 전국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다. 배달원들이 모두 지역주민이기 때문에 배달료를 지역화폐로 지급해도 문제없을 것이다.

배달원들에게 배달료를 지역화폐로 지급하면 지역주민들의 기본소득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도보배달이야말로 공공배달앱에 적합한 배달대행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소비자들이 배달주문을 할 때 내는 2000원의 배달비를 반값 또는 그 이하로 낮출 수 있다면 소비자들은 배달비 부담이 적은 곳으로 선택을 바꿀 수 있고 자영업자에게도 배달료 부담을 덜어준다. 할인도 하고 배달비도 낮출 수 있다면 이는 소비자를 공공앱으로 끌어드릴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공공배달앱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관련 당사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상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 심도있게 논의해야 할 것이다.

 

김규영 엠지플레잉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