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대형마트·대공원 일반인 차량 버젓 … 인천시청 CCTV 활용 100% 실천


2009년 보건복지부의 실태조사에 의하면 장애 발생 요인 가운데 90%가 각종 질환 또는 사고 등 재해로 인한 요인 이라고 한다.

우리 누구나가 잠재된 장애인이라는 말이 실감 나는 통계다.

요즘은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장애인 지원 정책을 다양하게 시행하고 있다.
 

   
▲ 인천시청 민원실 앞 장애인 주차구역은 CCTV를 활용해 모범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


또한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와 장애인들의 권리의식도 많이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의 이동권의 하나인 장애인 주차공간은 너무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다.

신흥동과 부평역, 항동의 A 대형 마트의 장애인 주차공간은 일반인 차량과 장애인 주차증을 소지한 차량이 뒤섞여 장애인 차량에 대한 편의 제공 노력이 절실해 보였다.

이 주차장에는 장애인 주차증의 번호가 손으로 직접 쓴 듯 한 장애인 주차증을 가진 차량도 발견 할 수가 있었다.

학익동과 구월동의 B 대형마트의 장애인 주차공간에는 일반 차량이 더 많았다.

특히 주차증의 차량번호와 차량의 번호판 번호가 서로 맞지 않는 얌체 운전자도 있었다.
인천대공원은 제1주차장 32면의 장애인 주차공간에는 일반 차량이 1/3 가량 주차했고 제2주차장 16면에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됐다.

주차장에는 안내요원들이 다수 있었지만 주로 차량의 통행을 유도 하다 보니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계도가 부족한 것 같았다.

반면 인천시청 민원실 앞 장애인 주차구역에서 다른 모습을 볼 수가 있었다.

10면의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은 전부 장애인 주차증을 갖고 있었다.

어떻게 100% 실천을 가질 수가 있었는지는 잠시 후 해답을 찾게 됐다.

주차공간 바닥면에는 장애인 주차구역 표시가, 주차구역 앞면에는 전광판에서 장애인 주차구역임을 알려 주고 있었다,

다른 곳과 차별된 부분은 뒤편에서 발견됐다.

각 주차구역 마다, CCTV를 설치해, 주차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한 뒤 보건복지부의 장애인 등록 번호와 실시간 대조를 한다.

확인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피커에서 이동 주차를 하라는 안내방송이 나오고 있었다.

이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실행이 되고 있었다.

이런 장비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 시민들의 장애인 배려 의식 제고를 위해서는 공공 기관, 대규모 시설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글·사진=김재현·김재희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