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언
최근 G8 확대 정상회의에서 한국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중 지능형 설비(Smart Grid) 분야의 선도 국가로 선정됐다. 정부는 지난 달 17일 국무회의에서 2020년까지 배출 전망치 대비 30%의 온실가스를 줄이겠다고 결정했다.

지난 7월 스웨덴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은 전 세계의 모범이 되는 '한국형 저탄소 녹색도시'를 구현할 실천 방안을 주문하기도 했다. 특히 2013년 한국도 온실가스 의무 감축 국가가 될 가능성이 매우 커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됐다.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핵심 국정 과제로 설정하고 국비 37조원 지원 등 역량을 집중하고 있지만 도시계획 차원의 환경정책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 인천은 이러한 국가 전략에 발맞추어 녹색성장 추진 실무 TF팀을 구성했고 올해 6월에는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 로드맵을 만들었다. 올해 안에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관련조례 신설과 탄소 감축을 위한 홍보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현재 마련 중인 '2025년 인천도시기본계획'에는 저탄소 녹색도시를 인천의 4대 목표 중 하나로 설정했으며, 이에 따른 전략 수립을 통해 국내 선두 주자로서 위상 확립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지난 1일 인천시가 연 기후 변화 대응과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심포지엄은 인천시 도시정책 방향 설정의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번 심포지엄은 400여 명의 전문가와 일반 시민 뿐 아니라 전국 각 지역 공무원들이 참석해 저탄소 녹색도시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과 중요성을 느낄 수 있는 자리였다.

중앙정부의 저탄소 녹색도시 기조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진행된 심포지엄은 '저탄소 녹색성장형 해외 도시정책 사례 및 인천시 추진 방향'을 비롯한 4개 분야의 주제 발표와 토론이 다양하게 진행됐다. 이를 통해 저탄소 녹색도시를 위한 다양한 신도시 조성 기법과 기성 시가지 활용방안, 경제자유구역 탄소 배출량 산정 및 감소 전략과 경제적 대안 등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책과 아이디어가 논의됐다. 특히, 송도의 경우 미국 그린빌딩위원회의 친환경 인증인 LEED-ND 시범프로젝트에 선정돼 최첨단 친환경 기술을 도시 전체에 적용한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그 동안의 저탄소 녹색도시에 관한 연구가 환경, 건축, 관광, 교통 등 각 분야별로 이뤄졌다면 이제는 도시 전체를 통합하는 도시계획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도시계획은 이를 통합하고 조정하는 역할, 즉 코디네이터로서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된다.

이런 노력을 통해 우리 인천은 심포지엄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바탕으로 미래도시를 선도할 핵심적 도시정책 방향인 저탄소 녹색도시를 향한 전략 수립과 실현을 통해 지속가능한 '세계10대 명품도시'로 진입할 것이다.
 
/김진영 인천시 도시계획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