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서거함에 따라 차기 265대 교황이 누가 될 것인지 전 지구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교황의 서거나 궐위가 확인되면 20일 이내에 시스틴 성당에서 전 세계 80세 이하의 추기경들이 모두 참석하는 비밀회의(콘클라베)에서 다음 교황을 선출하게 된다.
후임에는 현재 수많은 추기경이 물망에 오르고 있지만 교황 선출이 워낙 엄격한 비공개방식으로 진행되는데다 논의가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전망이 쉽지 않다.
이탈리아 출신이 다시 교황직을 승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교황청 주변에서 흘러나오고 있으나 가톨릭의 확산과 전인류적 포용을 위해선 더이상 이탈리아인 행정직교황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는 목소리도 높다.
다음은 차기 교황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주요 인물들이다.
◇프란시스 아린제(72) 추기경=최초의 흑인 교황으로 유력시되는 인물이다.
나이지리아 출신이지만 런던에서 교육을 받아 완벽한 영어를 구사하며 서유럽과 제3세계의 지지를 동시에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이슬람 전문가로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을 장기 역임했으며 지금은 교황청 신앙성성(聖省) 수장을 맡고 있다.
◇다리오 카스트리욘 오요스(75) 콜롬비아 추기경=성사(聖事)에는 극도로 보수적이지만 사회적 부정에 당당하게 맞서는 용기를 갖춘 성직자로 평가된다. 부랑인들을 위한 봉사활동을 벌여왔고 커피 재배업자와 경찰의 부패에 맞서는 활동을 폈다.
우유배달원으로 가장해 마약상 파블로 에스코바르를 방문, 고해성사를 하도록 한 일은 유명한 일화다. 현재 교황청 사제 담당 성성을 이끌고 있다.
◇클라우디오 우메스(70) 브라질 상파울루 대주교=독일계 이민 후손으로 남부 브라질에서 태어났다. 노동운동에 동조하고 있지만 교리적으로는 전통주의를 따르고 있다. “우리는 모두 형제들”이라는 모토로 유명하며 남미 최대의 신자를 가진 브라질을 대표하는 성직자라는 점이 최대 강점이다.
◇오스카르 마라디아가(62) 온두라스 테구시갈파 대주교=수개국 언어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인물로 피아노를 연주하며 직접 항공기를 몰기도 한다. 제3세계 빈곤 문제를 현장에서 경험했으며 사회적 약자의 열렬한 옹호자로 이름이 높다.
◇호르헤 마리오 베르호흘리오(68)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주교=약사 출신으로 검소한 생활로 신자들의 존경을 한몸에 받고 있다. 지난 2000년 아르헨티나 전 교회에서 군사독재 시절의 죄과 청산작업을 벌이기도 했다.
◇디오니지 테타만치(71) 밀라노 대주교=전통적으로 교황을 배출해온 이탈리아 최대 교구인 밀라노 교구의 최고위 성직자. 교리에 대해서는 보수적이지만 사회적 약자를 위한 개혁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진보적 면모를 보이고 있다.
◇안젤로 소다노(77) 교황청 국무장관=경험과 능력을 갖춘 안정된 인물로 꼽히며 상대적으로 고령이지만 건강은 양호하다.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출신으로 다소 어눌하다는 점이 흠이며 교황청 남미 대사 재직시 피노체트 독재정권에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안젤로 스콜라(63) 베네치아 총대주교=이슬람 전문가로 생명윤리에 대해서 전통적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 언론에 친숙하고 지적이며 외국어의 귀재로 통한다. 교회를 현대문명과 연결해야 한다는 소신을 갖고 있다.
◇지오반니 바티스타 레(71) 추기경=교황청 국무장관, 주교 성성 수장 등을 역임, 교황청 업무에 가장 정통한 추기경. 서거한 교황과 매우 가까웠다.
◇고드프리드 다넬스(72) 벨기에 추기경=로마 가톨릭의 영향력 확산을 위한 캠페인을 벌여온 개혁주의자로 꼽힌다. 피터 헤블스웨이트의 저서 ‘차기 교황’에서 다넬스 추기경은 미래에 대한 비전과 함께 교리에 대한 명쾌한 해석 능력을 지닌 몇안되는 추기경 중 한 명으로 지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