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성능평가·실증 R&D
지역 주도 제품 수요처 발굴
신속한 행정·재정적 지원 등
지자체 ‘중장기 전략’ 필요성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부상하는 인천 바이오의약산업 소부장 활성화를 위해 R&D 지원과 지역 주도 제품 수요처 발굴 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8일 인천연구원의 '바이오의약 소재·부품·장비 산업 및 정책 현황' 보고서를 보면 인천 송도국제도시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CDMO/바이오시밀러), 셀트리온(CMO/바이오시밀러), SK바이오사이언스(CDMO), 롯데바이오로직스(CDMO), 마크로젠(유전체분석), 아미코젠(배지), 싸토리우스(일회용백), 싸이티바(필터레이션) 등 기업이 바이오의약 생산시설을 건립·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인천에는 국내·외 바이오 기업이 클러스터화돼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공항과 항만 등 국내외 교통이 편리하고, WHO 글로벌 바이오 메인캠퍼스 등 인력양성을 위한 요건이 갖춰져 있어 바이오의약 소부장의 성장을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는 분석이다.

바이오의약 소부장은 바이오의약산업의 연구·개발, 생산, 제조, 서비스 단계에 활용되는 모든 소재·부품·장비를 일컫는다. 바이오의약산업 성장 및 발전의 뿌리가 되는 기초 제조업을 의미한다.

문제는 바이오의약 소부장의 경우 국산화를 위한 제품 개발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관련 시장의 과점체제와 의약 허가 등록 사항 변경의 번거로움으로 신규 기업의 수요처 확보가 어렵다는 점이다.

현재 인천시가 국산 바이오 원·부자재 개발과 활용 촉진을 위해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사업 ▲남동구 바이오 및 소부장 시제품제작 지원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단발성이 아닌 지자체 차원의 중장기적인 사업전략에 기반한 투자와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구체적으로 바이오의약 소부장에 대한 제품 성능평가·실증 등 R&D 지원, 지역 주도의 제품 수요처 발굴 및 연계 강화, 제품 인허가 관련 신속한 행정·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인천연구원은 “전 주기적 R&D 투자 계획을 수립하여 바이오의약 소부장 국산 기술개발을 지원해야 한다. 기술을 가진 소부장 기업이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하도록 공급·수요기업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원스톱 지원체계 마련도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기술 국산화를 이뤄낸 소부장 기업에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산학연계로 전문인력을 공급하는 등 성장 발판도 마련해야 한다”며 “중·장기에 걸쳐 체계적으로 이뤄지도록 종합계획과 정책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해윤 기자 yu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