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 인천 위해…국악에 더 애쓰려 합니다”

인천 빛낸 인물·이야기 발자취 찾아나서
국악원 역할 '경아대' 중요성 강조 재개관
이두칠 등과 가야금·시조·정악 등 가르쳐
'인천 가무악희' 책 출간…기념 공연회도
▲ 인천 국악과 무용 역사를 담은 <인천 가무악희>를 출간한 우리나라 1호 국악평론가 윤중강. 지난 19일 출간 기념 공연을 앞두고 인천 중구 버텀라인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1호 국악평론가 윤중강은 인천 중구 경동에서 3대째 터를 잡고 살아온 인천토박이다. 경동사거리에서 배다리까지, 율목공원에서 자유공원까지 원도심 곳곳을 내 앞마당 삼아 누비며 '싸리재 키즈'로 성장해왔다.

대학에서 가야금을 전공하고 이제는 명실상부 최고의 국악평론가로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그가 나고 자란 인천과 관련한 첫 번째 책을 펴냈다.

지역의 국악과 무용의 역사를 담은 <인천 가무악희>는 우리가 모르는, 하지만 우리가 알아야 할 인천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오래전 한 신문사 특집기사에서 지방문화를 다뤘는데 인천편이 나왔어요. 개항과 함께 급성장한 도시라서 문화적 전통이 미약해 국악은 애초부터 뿌리를 내리지 못한다고 말하더군요. 정말 속이 상했어요. 분노로 끝내지 말고 인천국악을 제대로 알리는 역할을 해야겠다고 다짐했죠.”

그 다짐이 결실로 이어지게 된 건 아이러니하게도 모든 공연이 멈추며 문화계가 어려움을 맞게 된 코로나 시기였다. 코로나가 기승을 부리던 2020년 옐로밤 이영찬 대표와 인천국악의 역사를 짚어나가기 시작했다. 지역에서 활동했던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인물들의 발자취를 찾아 나섰고, 오래된 자료와 그가 기억하는 지역 이야기의 퍼즐들이 하나둘 맞춰졌다. 그 과정에서 1963년 준공돼 인천 국악원의 역할을 한 '경아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재개관을 이뤄내기도 했다.

그는 “1920년 고전국악 연구단체 성격의 '이우구락부'가 창설됐다. 이것이 인천 풍류의 시작이며 이후 경아대가 준공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인천국악의 모습을 갖췄다. 인천 풍류의 아버지 이두칠(1901∼1975)을 중심으로 정악, 시조, 가야금, 무용을 온종일 가르쳤다”며 “인천 가무악희의 정신은 '이우보인'이다. 벗들과 함께 뭉쳐서 각자에게 부족한 어진 에너지를 서로 보충하자는 것으로, 이것이 바로 인천국악의 밑바탕에 흐르는 정신으로 이를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19일에는 출판을 기념해 중구 버텀라인에서 '인천국악 화양연화'라는 주제로 기념 공연이 열렸다. 1960년대 인천 전통예술의 대가 삼인방 민천식 춤방, 이두칠 율방, 양소운 춤방 등의 모습을 담으며 책 출간의 의미를 더했다.

“딱 1년 전이네요. 지난해 12월 서울시문화상(국악부분)을 받았어요. 서울시장이 주는 상패를 받고 기념사진을 찍으면서 당연히 기뻤지만 한편으로는 '여기가 인천이면 더 좋겠다'라는 생각이 스치더라고요. 이번 책 출간이 끝이 아니에요. 내가 사랑하는 나의 고장 인천을 위해, 인천 국악을 위해 더욱 애쓰려고 해요. 익숙했던 인천에 대해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알리기 위해 노력하려 합니다.”

/글·사진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



관련기사
[문화 인터뷰] 안원섭 흐르는 물 대표 한때는 인천 중구도 청년인 때가 있었다. 개항 이후 모든 신문물이 모여드는 출발지였기에 가장 빠르게 움직이고 변화를 좇는 젊은이들의 발길이 항상 머물렀다.시와 음악을 사랑하는 20대 안원섭도 그곳에 있었다. 웅얼거리며 외던 시의 한 구절을 지붕 삼아 자그마한 가게를 마련해 턴테이블을 들였다. 바늘이 LP 사이 홈을 지나며 내는 깊고 풍성한 사운드, 때때로 흘러나오는 '찌직'거리는 잡음까지 한데 어우러져 공간을 채웠고 따뜻한 선율은 찾는 이들의 마음을 위로했다.신포동 LP카페 '흐르는 물'이 올해로 개업 [문화 인터뷰] 최현준 미림극장 대표 영화가 낭만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들뜬 마음으로 극장을 찾아 상영시간을 확인하고, 영화를 보기 위한 몇 시간의 기다림쯤은 마다치 않았던 그때. 영화가 유일한 문화생활이었던 1957년 인천 동구 송현동에 천막극장인 '미림극장'이 세워졌다.50년 가까이 지역의 대표 영화관으로 그 자리를 지켰지만, 대형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홍수 속에서 살아남기란 쉽지 않았다. 결국 2004년 폐관을 결정하고 시민들과의 작별을 고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미림을 그리워하는 시민들의 마음은 더욱 커졌다. 시민들의 열망과 시민사회, 영화계의 도움으 [문화인터뷰] 갤러리 EOS 손민수 대표 예전과 달리 이제는 인천에서도 크고 작은 갤러리들을 만날 수 있다. 단독으로 갤러리를 운영하거나 사업성을 위해 카페와 식당을 함께 운영하는 곳까지 모습은 다르지만 지역민들과 함께 성장하는 갤러리들이 제법 생겼다.기분 좋은 인천지역 성장 속 30만에 육박하는 계양구의 이야기는 조금 다르다. 비영리 목적으로 운영하는 몇 곳을 제외하곤 개인 소유의 갤러리를 찾기란 쉽지 않다.“계양구에서 자란 토박이로서 늘 아쉬움이 있었어요. 어려운 결정이었지만 진지한 고민 끝에 이곳에 문을 열게 됐습니다.”문화 불모지 취급을 받던 계양구에 패기 넘치는 [문화 인터뷰] 오원배 화백 바다 특유의 짠내를 맡으며 해질녘까지 동네 수 바퀴를 돌았던 개구쟁이. 학창시절 재능을 알아본 스승의 권유로 미술계에 발을 들인다. 정든 고향 인천을 떠나 국내에서는 후학양성에 매진했고, 늘 새로움을 추구하며 도전정신을 불태우는 그의 작품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023 인천미술 올해의 작가'로 선정된 오원배 작가의 개인전 '부유/현실/기록'이 오는 7일부터 내년 3월3일까지 인천아트플랫폼 전시장1(B)에서 열린다.인천문화재단이 올해 처음으로 시작한 '인 [문화 인터뷰] 유미정 작가 오랜 시간 말(馬)을 주소재로 삼아 활동해 온 유미정 작가가 'Small village'를 주제로 인천 중구 윤아트갤러리에서 오픈런(종료기간 없이 진행) 전시회를 열고 있다.이번 유 작가 초대전에서는 그동안 선보인 작품 외 주제와 맞아떨어지는 다수의 최신작도 만나볼 수 있다.“언제부턴가 말을 자주 그리게 됐어요. 말을 가만히 보면 가고 싶은 시간으로, 장소로 데려다줄 것만 같더라고요. 그게 과거일 수도 미래일 수도 있죠. 지금은 돌아가신 아빠가 어린 시절 목마를 사주셨거든요. 어른이 될 때까지 잊고 살았는데, 말을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