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하나밖에 없는 마약치료공동체인 경기다르크(DARC)가 결국 폐쇄될 위기에 빠졌다. 지난 2019년 남양주시 퇴계원에서 문을 연 경기다르크는 그동안 85명의 마약중독자가 입소해 60명을 사회에 복귀시킨 치료·재활 그룹홈이다. 하지만 올해 들어 좀 더 많은 중독자를 돌보기 위해 퇴계원에서 호평동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주민반발에 부딪혔고, 시가 시설미비 등을 들어 허가를 내주지 않으면서 완전히 문을 닫아야 할 판이다. 한국사회가 급증하는 마약사범에 어쩔 줄 몰라 하는 모습의 한 단면을 보는 듯하다.

마약의 확산을 처벌만으로는 결코 막을 수 없다. 예방교육을 대폭 강화하고, 치료와 재활의 길을 다각도로 넓혀 나가야 한다. 마약사범을 일정 기간 가둔다고 중독에서 스스로 벗어날 수는 없다. 우리보다 먼저 마약 문제로 골치를 썩인 국가들은 그러므로 당연히 예방과 치료·재활에 힘을 쏟는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마약을 추적하고 처벌하는데 급급할 뿐 예방과 치료에는 무신경하다. 유명인의 마약 사건을 크게 부각한다고 마약중독이 줄어들 리 만무다.

대검찰청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10대와 20대 마약사범이 2023명 검거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417명에 비해 무려 43.6%나 늘어난 숫자다. 전체 마약사범 증가(29.7%)보다 크게 높다. 젊은 중독자는 처벌과 동시에 하루라도 빨리 마약의 유혹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야 다시 마약에 손대지 않고 사회에 복귀할 확률이 높아진다. 하지만 공식 재활센터는 전국을 통틀어 단 2곳뿐이다. 민간 치료·재활 시설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마저도 경기다르크처럼 오해 속에 존립 자체를 위협받는다.

한국의 다르크는 그동안 단 한 건도 불미스러운 사건을 빚은 적이 없다. 경기다르크 임상현 센터장은 “센터 입소자들은 잠정적 범죄자가 아니라 마약을 끊기 위해 스스로 찾아온 아이들”이라며 대안 마련을 호소한다. 갈 곳이 없어진 입소자들이 어찌 될지는 뻔하다.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시설을 오히려 지원할 방도를 찾아야 한다. 사회적 인식 전환도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