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평균 송도 8억8964만원-동인천 1억7456만원
인천연구원 “가격 상승 원인 공급량 변화 조절해야”

인천 원도심과 신도심 간의 부동산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다. 결국 인천도시공사(iH)를 비롯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차원에서 가격상승 원인으로 꼽히는 급격한 공급량 변화를 조절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19일 인천연구원이 내놓은 '아파트 가격 양극화 분석 및 향후 정책 방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기준 중구 영종, 연수구 송도, 서구 청라 경제자유구역 3곳의 평균 매매 실거래가는 4억6011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동구 동인천, 미추홀구 주안, 부평구 부평, 계양구 계양 등 4개 생활권역의 평균 매매 실거래가인 2억4826만원의 1.85배 수준이다. 여기서 생활권역은 연구원이 행정동 2∼4개를 기초로 연계성·종속성이 높은 중생활권을 추출한 개념으로, 동인천 권역의 경우 중구 영종지역을 제외한 신포동·연안동 등지와 동구 전 지역을 포괄한다.

/출처=인천연구원 '아파트 가격 양극화 분석 및 향후 정책 방향' 보고서 발췌.
/출처=인천연구원 '아파트 가격 양극화 분석 및 향후 정책 방향' 보고서 발췌.

권역별로 보면 인천 원도심과 신도심간의 집값 격차는 더욱 급격하다.

지난해 연수구 송도 권역의 아파트 매매 평균실거래가는 8억8964만원이었던 반면, 가장 낮은 수준인 동인천 권역은 1억7456만원으로 5.1배 차이가 났기 때문이다. 송도의 경우 입주 초기인 2006년 대비 무려 평균 매매가 상승률이 175%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세 시장에서도 유사한 차이를 보인다. 심도심으로 분류되는 3개 경제자유구역의 평균 전세 실거래가는 3억3639만원으로, 원도심 4개 생활권역 실거래가 2억1065만의 1.6배에 달했다.

연구원은 이같은 데이터를 토대로 인천 지역에서의 아파트 가격 양극화도 분석해냈는데, 2006년 아파트 실거래가 기준 인천 지니계수는 '0.319'였던 반면 2021년엔 '0.351'로 늘어났다.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의 분포 상태로 양극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양극화가 커짐을 뜻한다. 인천과 달리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지니계수가 '0.307'로 나타나 15년 전인 2006년 '0.423'보다 오히려 양극화가 해소되는 모습이었다.

연구원은 인천에서도 지역별 양극화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급격한 가격 변동을 최소화할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종현 인천연구원 도시공간연구부 선임연구위원은 “주택가격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보다 가격상승 원인 관리에 집중하는 종합적 관리방안이 필요하다”며 “iH와 LH 등은 민간 부문의 주택공급량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공급량이 급격하게 증감하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