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인천일보DB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 백신의 예방접종이 계속되고 있다. 시민들은 연이은 부작용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지난 2월26일 아스트라제네카(AZ)를 시작으로 화이자 백신까지 접종이 이어지고 있다.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고령층 집단 시설의 만 65세 미만 입원‧입소자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AZ 백신이 우선 접종됐다. 이들 중에서 연령대와 상관없이 백신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어 시민들은 불안함을 호소하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온 게시글 /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지난 4월12일 경기도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조무사 A(45)씨는 AZ 백신을 접종한 뒤 면역 반응 관련 질환인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진단을 받았다. A씨는 접종 직후 일주일간 두통을 겪었고, 24일 사물이 겹쳐 보이는 ‘양안복시’ 증상을, 31일 병원 입원 후엔 사지 마비 증상을 보여 현재 치료 중이다. A씨의 남편이 청와대 국민청원에 글을 올리며 해당 사건이 언론에 알려졌다.

또 지난 4월29일 접종한 뒤 사흘 만에 뇌출혈 의심 증상으로 쓰러져 2차례 긴급수술을 받고 현재까지 의식을 찾지 못한 50대 여성 경찰관 B씨의 사례도 청와대 청원을 통해 알려졌다. B씨의 자녀는 해당 게시글에서 “증상이 심해진 지난 2일 새벽 어머니는 갑작스러운 사지마비 증상으로 온몸을 꼬며 고통스러워하셨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만 75세 이상 코로나19 백신 접종 /인천일보DB

B씨와 같은 날 접종한 30대 남성 경찰관 C씨도 부작용 증세를 겪었다. 그는 기저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AZ 백신을 맞았고, 이달 1일 양쪽 다리 허벅지에 저린 느낌과 감각 저하를 느꼈다. 이어 4일 좌뇌에 뇌출혈 소견의 진단을 받아 병원 입원 후 뇌 정밀검사를 진행했다. C씨는 해당 검사에서 뇌출혈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백신 접종과 인과성은 진단서에 명시되지 않았다.

부작용과 함께 이들을 괴롭히는 것은 병원비와 생활비다. 입원비와 치료비를 포함한 병원비와 입원한 동안 근로소득이 없어 부족한 생활비를 모두 개인이 충당해야 한다. 지원 절차는 당사자가 병원 기록 등을 바탕으로 심사를 신청해야 한다. 이후 정부는 예방접종피해보상위원회 등을 꾸려 연관성 심사를 하는데, 최대 120일까지 걸린다. 결과가 나오기 전까진 개인이 부담해야 한다. 아울러 백신 접종과 증상의 연관성을 증명하지 못하면 지원을 받을 수 없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인식 조사

예방접종 부작용 보도가 계속되면서 시민들의 접종 의향률은 낮아지고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7∼29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인식도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미접종자라고 밝힌 943명의 61.4%가 ‘예방접종을 받을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 19.6%는 받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19%에 달했다.

지난 3월에 치러진 1차 설문조사와 비교했을 때, 예방접종을 받겠다는 응답은 6.6%포인트(p) 감소했고, 받지 않겠다고 답한 비율은 6.7%p 상승했다. 접종을 망설이는 주요 이유로는 ‘이상반응 우려’(84.1%)가 가장 많았고 이어 ‘백신 효과 불신’(66.8%), ‘백신 선택권 없음’(44.8%)이 뒤를 이었다.

한편, 정부는 오는 9월까지 국민 70%에 대한 1차 접종을 마치고, 11월까지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확보한 9900만 명 분의 백신 물량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9배, 집단면역 형성을 위한 접종목표 3600만 명의 2.75배에 해당된다.

/김성열 인턴기자 kary0330@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