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조례 제정·매뉴얼 개발 계획
▲ 해마다 인천지역에 화학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왼쪽사진은 지난 22일 탱크로리 폭발사고가 발생한 인천 서구 한 화학제품 공장 모습.&nbsp;<br>

지난해까지 7년간 인천 화학사고로 인해 발생한 사상자 수만 59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산업단지와 주택가가 인접한 지리적 특성을 고려해 화학사고 대응체계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6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인천에서 발생한 화학사고 건수는 모두 30건이다.

지난 7년간 인천에서 화학사고로 인해 사망한 인원은 4명이고, 부상자 수는 5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만 남동산업단지 화장품공장과 가좌동 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한 사고 3건으로 사망자 4명과 부상자 14명 등이 발생했다. 2019년에도 3건의 사고로 3명이 부상을 입었다. 2018년에도 5건, 2017년 4건, 2016년 4건, 2015년 7건, 2014년 4건 등이 일어났다.

화학사고의 주요 원인으론 '시설 관리 미흡'과 '작업자 부주의' 등이 꼽힌다. 사고 30건 가운데 16건이 사업장 시설 관리 미흡이 원인으로 제시됐고, 13건이 작업자 부주의였다는 한강환경유역청의 조사 결과다.

지난해 기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인천 사업장 수는 1638곳에 달하며, 다수인 938곳은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기업들로 분류됐다. 570곳 사업장에서는 유해화학물질을 판매하고 있다. 인천은 이같은 독성물질 사업장 주변 위험 인구수 통계로도 전국 1위로 꼽힌다. 지난 2016년 국회 국정감사 자료집인 '발암물질 전국지도'에 따르면, 인천시민 42%가 발암물질과 같은 고독성 물질 배출사업장의 1.61㎞(1마일) 내 영향권에 있다는 설명이다.

시는 '2021년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추진계획'을 내놓고 화학사고 발생 시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 화학물질 관리 조례를 개정해 화학사고 대피장소 지정, 응급의료지원 계획 등 지자체 실무 업무가 가능하도록 제도적 토대를 만든다. 또 전문화된 사고대응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매뉴얼 개발 등에도 나서게 된다. 시는 하반기에 개소하는 '119화학대응센터' 등과의 협조 체계 강화에도 나서기로 했다.

시 생활환경과 관계자는 “지난해 환경부와 진행한 지역대비체계 사업 이후, 올해 시는 자체적으로 화학사고 대응계획 수립 등을 추진하고 있다. 화학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지자체 제도적 기반 구축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