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엔 중서부권 인천의료원만 지역 공공의료기관으로 운영된다. 인천시민들이 충분한 책임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이유다. 인천시가 지난 2019년 벌인 '제2인천의료원 건립 타당성 연구조사 용역'에서 남부권에 지역 책임의료기관 지정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남부권 지역 책임의료기관으론 인천적십자병원이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꼽혔다.

여기에 대한적십자사가 자체 연구용역으로 ‘인천적십자병원의 제2의료원 전환 가능성’을 제시해 관심을 모은다. 인천적십자병원 운영 효율화 연구용역 최종 보고서에서는 공공성 강화를 위한 4가지 방안 가운데 하나로 운영주체를 시로 전환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적십자병원을 지역 책임의료기관으로 전환하려면 응급의료센터 등을 개설해야 하는데, 당장 어려우면 인천시와 적극 협의해야 한다고 진단한 것이다. 다만 적십자병원을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으로 만드는 데에만 500억원 넘게 투입해야 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결국 과제는 비용이다. 최소 560억여원을 추가로 투자해야 하지만, 선뜻 이에 나설 주체가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적십자사 용역 결과가 나온 이후에도 인천시는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유지 중이다. 최근 인천시의회에서 열린 공공종합병원 관련 토론회에서도 시는 감염병과 같은 국가적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국립대학교 병원 유치·건립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거듭 강조했다.

적십자병원이 위치한 인천 남부 진료권역의 경우 공공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필수의료 기능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그만큼 시민들은 응급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의료 서비스를 받기 힘들다. 현 적십자병원 상황에선 지역사회 경쟁력 상실과 규모의 경제란 측면에서 공공병원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는 게 이번 용역의 진단 결과다. 

따라서 인천적십자병원의 재정 자립을 통한 의료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 '수익 적자'라는 고질병을 앓는 적십자병원에 제2의료원 전환은 유력한 '선택지'로 꼽힌다. 그에 따른 비용이 발목을 잡긴 해도, 이제 적십자병원을 국공립병원으로 전환·운영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다.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일은 시민들에게 공공의료 서비스를 확대해야 하는 방안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