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경제학자 군나르 뮈르달은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인근 지역에서일수록 그 지역의 경제적인 동력이 중심지로 유출되기 쉽다는, 이른바 ‘역류효과(backwash effect)’ 개념을 내놓은 바 있다. 중심지에 인접한 지역의 소득, 자금, 인재가 중심지가 갖는 그 거대한 경제적 흡인력에 의해 대거 유출돼버린다는 의미다. 뉴욕 인근에 있는 뉴저지의 여러 도시가 그러하고, 도쿄 인근의 요코하마나 치바도 그러하며, 베이징과 가까운 텐진 역시 그러하다. 수도(首都)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면 여러 가지 면에서 좋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역외 유출로 인해 되레 지역의 피폐화가 초래된다는 것.

우리 인천은 그간 이와 같은 ‘역류효과’로 인해 지역경제가 침체되는 현저한 역외 유출로 경제적 동력을 잃은 전형적인 도시였다. 2017년 기준 인천의 역외소비율은 전체 소비의 무려 52.8%에 달해, 경기 44.9%, 부산 44.7%, 대전 47.3%를 크게 웃돌았다. 전국 최고 수준이었다. 서울과 인접해있는 또 다른 지역인 경기도에 비해 인천의 역외 유출은 더욱 심각했다. 이 점을 고려해서 볼 때, 그간 인천의 지역경제 정책은 타 도시들에 비해 역내소비를 확대시키고 역외소비를 줄이는 기능을 제대로 발휘해내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그도 그럴 듯이, 지금껏 인천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자본을 대규모로 끌어들여 이른바 ‘개발’을 통한 낙수효과를 유도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경제자유구역 개발정책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송도경제자유구역에 입주한 사업체의 인천 내 조달률이 20%가 되지 않고 있고, 대규모 토목공사였던 인천대교 건립사업이 인천 내 건설회사에 대한 하도급 수주로 연결되지 않았던 점이 보여주고 있듯이, 개발에 무게중심을 둔 토목공사형 경기 진작책은 인천 안으로의 재투자를 담보해내지 못 하고 개발에 의해 창출된 부가가치나 소득은 인천 밖으로 유출돼 왔다. 안 그래도, 비서울권 지역들의 경제가 피폐화되고 있는 ‘지역소멸’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데, 인천의 경우 역내 경제적 동력을 확보하고 또 이를 지역 안에 재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인식하지 못했다. ‘명품도시’니 ‘경제자유구역’이니 하며, 외국으로부터 또 외부로부터 자본을 유치하는 데 혈안이 돼 있었지, 그 자본에 의한 지역 내 경제 동력의 유출 현상은 인지하지도 또 막아내지도 못했다. 이른바 ‘경제자유구역 만능론’이 지역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의미다. 인천에는 지역경제를 떠받칠 소비가 대거 빠져나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조달 역시 역외 이입으로 충당되는 경우가 많고, 나아가 인천의 금융기관에 축적된 자금 역시 인천 밖으로 투융자되고 있었으니,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리 만무했다.

그런 파행적인 경제구조에 빠진 인천이 변하기 시작했다. 지역화폐 ‘인천e음’을 지역경제 정책 차원에서 도입한 것이 변곡점으로 작용했다. 한국은행 인천본부에 따르면, 2019년 1월에서 4월 사이에 무려 59.3%에까지 달했던 인천의 역외소비율은 인천e음 도입 이후인 같은 해 5월에서 12월 사이에는 58.9%로 하락했고, 인천연구원에 따르면, 인천e음 도입 이후에 인천 시민들의 서울과 경기도에서의 역외소비는 359억 원이나 감소했다. 반대로, 인천e음 도입 이후에 서울과 경기도 시민들이 인천에서 소비한 액수, 즉 역외소비 유입은 634억 원이나 늘어났다. 필자의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특히 지역화폐 정책에 매우 적극적이었던 인천 서구의 경우, 지역화폐 ‘서로e음’ 도입 이전에 서구 밖에서 소비했던 액수가 월평균 105만 원이었던 것이 서로e음 도입 이후에는 약 41만 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이렇듯, 인천의 지역화폐는 인천 지역경제 최대의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했던 역내소비 유출을 크게 줄였다. 지역화폐의 지역경제적인 최종목적은 지역 소비(역내소득)의 역외 유출을 방지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인천e음 그 소기의 성과를 분명히 달성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와 영국 랭커셔주 프레스턴이 전 세계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지역의 소득, 조달, 자금과 같은 도시의 경제적 동력(community wealth)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도시 내 지자체, 여타 공적기관, 대학, 병원 등과 같은 앵커기관들의 지역 내 재투자를 유도해내는 데 성공하면서 자기 완결적인 지역경제 구조를 구축했기 때문이다. 이렇듯, 피폐화되고 있는 지역경제를 살려내기 위해서는 ‘지역순환형 경제’로 가는 길밖에 없다. 지금, 전 세계의 수많은 도시들이 이를 모색하고 있다. 지역화폐 인천e음은 그 출발점이다. 이제, 역내 소비뿐만 아니라 은행의 자금도 지역 안에 투융자될 수 있도록 하고 기업의 조달 역시 지역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역 금융정책과 지역 산업정책까지 구상돼야 한다. ‘인천e음’은 그 정책 인식의 토대를 마련해줬다.

양준호(인천대 경제학과 교수)<br>-인천대 경제학과 교수<br>-前 인천대 사회적 경제연구센터장<br>-인천시, 시흥시 지역 화폐학교장<br>-일본 교토대 경제학박사<br>
양준호(인천대 경제학과 교수)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
-前 인천대 사회적 경제연구센터장
-인천시, 시흥시 지역 화폐학교장
-일본 교토대 경제학박사

 



관련기사
[지역화폐 전성시대] 5. 인천이음의 탄생 인천시 지역 화폐 '인천이음' 카드가 전국 1위의 거래실적을 보이고 있다.인천이음 가입자 수는 지난달 25일 기준 총 134만 7000명으로 인천시 경제활동인구 164만명의 82%에 이른다. 결제액도 2조 3558억원으로 연말까지 3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이 같은 성공에 중앙정부는 물론 전국 지자체에서도 인천을 주목하고 있다.인천의 성공사례는 전국 지자체로 퍼져나갔고, 인천 지역화폐 정책은 최고의 ‘히트상품’이 되고 있다.지금은 최고의 히트상품이 됐지만 인천이음의 출발은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이기에 우여곡절 그 [지역화폐 전성시대] 4. 지역화폐 전국을 휩쓸다 요즘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지역화폐를 발행하는 건 “우리 동네 경제를 좀 살려보겠다”는 의지들이 이어져서다. 그나마 형편이 괜찮은 대형 자본들 말고, 지역에 뿌리를 둔 소상공인·자영업자들에 집중해 할인 또는 캐시백 등 각종 인센티브를 설정하는 방식이 지역화폐의 출발선이다. 지역화폐는 지역 소득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장치쯤 되는 셈이다. 지역화폐 다른 이름이 '지역사랑상품권'인 이유기도 하다. 코로나19 확산세 속에 지역화폐는 지역 경기 활성화에 더해 '재난기본소득'의 지급 방식이자, 지역 [지역화폐 전성시대] 2. 역외소비를 막아라 지난 1999년. 인천지하철 1호선이 개통하면서 부평역은 인천지역 최초 환승역으로 기록됐다. 그리고 뒤이어 21년 동안 7개 환승역이 더 들어섰다. 환승역이 늘어난 만큼 지역 경제에 호재로 작용했어야 하는데도, 주변 아파트 가격만 천정부지로 오르고 말았다. 유독 인천에선 수도권 접근성이 향상될수록 지역 소비가 서울과 경기로 귀속되는 경향이 강해 환승역이 자리해도 상권 형성에 마중물이 되지 못하는 분위기다.수도권 대표 상권들을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환승역이 인천 골목 경제에선 존재감이 흐릿한 이유다. 환승역도 이 지경인데, 일반 [지역화폐 전성시대] 프롤로그 1. 지금, 왜 지역 화폐인가? 지역 화폐 논쟁이 한창이다. 국책 연구기관인 조세재정연구원이 이른바 '지역 화폐 무용론'을 들고 나선 것을 계기로 그에 대한 반론들이 줄을 잇는다. 필자 역시 동 연구원이 발간한 보고서 내용을 SNS를 통해 조목조목 비판해왔는데, 그들의 분석과 주장의 가장 심각한 오류는 무엇보다 통계 사용에 있다. 지역 화폐는 예산만 낭비하는 불필요한 정책이라는 그들 주장은 2010년에서 2018년 사이의 관련 통계에 따르고 있다는 것. 주지하다시피, 정부 및 지자체 재정이 투입된 지역 화폐 정책 이른바 지역사랑 상품권 정책은 201 [지역화폐 전성시대] 1. 지역화폐, 제대로 파헤친다 인천일보는 인천대 양준호 교수팀,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공동으로 지역 화폐에 대한 이야기를 올 연말까지 기획기사로 매주 금요일 보도할 예정이다. 지역경제정책 중 가장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인천이음카드 정책을 통해 지역의 소상공인과 소비자들의 이야기도 함께 풀어나갈 계획이다. 여기에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지역 화폐 이야기도 만나볼 수 있다. 특히 현재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지역화폐의 미래 모습에 대한 담론도 함께 소개할 계획이다.지역 화폐 열풍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관련기사 하단>지역 화폐는 이름 그대로 특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