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금석 남북협력특별보좌관, 시민 체감 남북사업 구상 중
"인도적 방식 北지원 부적절…지방정부를 주체로 인정해야"

"강연에서 '우리의 소원은?' 하고 물어보면 대부분 사람들이 '통일'을 떠올리지 못해요. 전쟁을 겪은 부모에게서 태어나, 격변의 근현대사 시기를 거쳤던 우리 세대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지난 7월 인천시엔 새로운 남북협력특별보좌관이 임명됐다. 15년가량 시민단체에서 활동하면서 지역사회에 새로운 화두를 던져왔던 장금석(51·사진)특보다. 직전까지 그는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인천본부 상임집행위원장과 가능한미래 사회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남북평화 정책에 대해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왔다.

당시는 북한 핵실험으로 유엔 대북제재가 차츰 강화된데다 연이은 연평도·천안함과 같은 서해상의 무력충돌 사태로 남북 교류가 완전히 끊긴 어려운 시기였다. 지난 6월과 같은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만남은 상상도 못한 때였다.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거치며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 천안함·연평도사건, 5·24 대북제재조치 등 모든 게 집중됐습니다. 먼 이야기였던 남북평화는 문재인 정부 들어서야 교류협력도 엿보는 수준으로 바뀐거죠."
하지만 여전히 한반도평화를 향하는 길은 멀기만 하다. 대북제재를 두고 북미 간의 '밀고 당기기'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한미연합훈련이 진행되자 북한은 이달에만 네 차례에 걸쳐 미사일을 쏘아올렸다. 장 특보는 이럴수록 비정치적인 영역에서의 교류협력이 필수적이라 강조한다. 오히려 지방정부의 민간교류는 정부간의 남북관계도 견인할 수 있는 '열쇠'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남북관계는 세계정세 흐름에 따라 부침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제한적인 중앙정부와는 달리 지방정부는 상대적으로 신뢰를 쌓아갈 수 있는 만큼, 대북교류협력의 주요 주체로 지방정부를 인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최근 그에게 가장 큰 고민은 인천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남북사업을 구상하는 것이다. 소위 교과서에서만 남북평화를 배운 세대가 등장하면서 통일은 더 이상 국민적인 과제가 아니게 됐다.

더군다나 북한에 시장경제가 자리잡으면서 지금까지 이어진 인도적인 방식의 지원사업도 적절하지 않다. 결국 남북 모두에 변화와 발전을 가져다주는 교류사업만이 통일에 대한 사고접근으로도 이어진다는 것이 장 특보의 결론이다.

"인천시 남북협력특별보좌관의 업무는 엄중한 대외 상황을 고려하면서도 언제든 인천만의 남북교류 특화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일입니다. '해상파시'처럼 서해5도 어민들과 시민들 모두의 삶을 바꾸는 정책을 마련하겠습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