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효2.jpg
▲ 인목대비친필족자. /사진제공=문화재청
"늙은 소 힘쓴 지 이미 여러 해 / 목 부러지고 가죽 헐었어도 잠만 잘 수 있다면 좋겠네 / 쟁기질, 써레질 이미 끝나고 봄비도 충분한데 / 주인은 어찌하여 괴롭게 또 채찍을 가하나."

안성시 칠장사에 인목대비가 직접 쓴 족자가 있다. 인조 반정이 있던 해에 아버지 김제남과 아들 영창대군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것이다.

연안 김씨 인목대비는 상처(喪妻)한 선조의 2번째 왕비다.

인목대비 19세, 선조 51세로 당시까지 가장 나이 차가 많은 왕과 계비(繼妃)다.

인목대비와 선조가 혼인을 한지 4년만에 낳은 영창대군은 선조의 사랑을 독차지했지만, 선조는 어린 영창대군 대신 이미 왕세자로 책봉된 광해군을 국왕의 자리에 올릴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

정권을 잡은 광해군는 "왕을 죽이고 영창대군을 옹립하기 위한 거사자금을 마련하고자 했다"는 도적의 진술을 빌미로 외할아버지 김제남을 처형하고, 동생 영창대군은 강화로 유배 보냈다.

8세의 어린 영창대군은 강화부사가 땐 아궁이 불 때문에 앉지도 눕지도 못한 상태로 창살을 부여잡고 서서 밤낮으로 울부짖다 죽었다.

어머니 인목대비는 경운궁(지금의 덕수궁)으로 옮겨가게 하니 실질적 폐위였다.

인목대비는 계축일기에서 "구더기가 방 안과 밥 지어 먹는 솥 위에까지 올라왔다. 또한 수차례 내인들이 불을 질러 목숨의 위협도 느꼈다. 짐승의 똥에 있던 씨를 심고서야 나물을 먹을 수 있었다"고 생활상을 기술했다.

인고의 경운궁 생활 10년째, '폐모살제(廢母殺弟: 어머니를 유폐시키고 동생을 죽임)'의 명분을 내건 인조반정이 성공했다.

이에 광해군은 강화도로 유배되고, 인목대비는 왕실 최고 어른으로 복귀해 완벽한 역전이 이뤄졌다.

인목대비와 광해군의 악연 속에서 어느 한쪽을 편들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비정하고 비열한 권력 다툼으로 어린 자식을 먼저 보낸 비운의 어머니를 위로해주고 싶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