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의 대리인 사명감 갖고 활동"
▲ 김유임 경기도의회 부의장이 여성·시민 단체로 시작해 의원으로 활동하면서 '포기하지 않고 계획하고 끝까지 추진하면 꿈꾸는 대로 이루어진다'는 믿음을 잊지 않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예산을 의결하는 것이 의회의 법적사무라고 생각합니다. 예산은 의회 농사인데 해결을 못한 것이 고통이었습니다. 의원은 '도민의 대리인' 이라는 본질적인 임무로 혈세를 낭비하지 않도록 책임있게 고민해야 합니다."

김유임(더민주·고양5·51·사진) 경기도의회 부의장은 의장직무를 대리하는 며칠동안 사상 초유의 경기도 예산공백 사태를 해결하는데 골몰했다.

29일 도의회 부의장실에서 만난 그는 며칠 사이 눈에 띄게 수척해 보였지만, 그의 눈빛은 이상하리만큼 뜨거웠고, 그의 말에는 힘이 있었다.

김 부의장은 "유치원·어린이집 연합회와 간담회를 하면서 누리과정 해결에 대해 도의회 여·야 의원들도 지방의회에서만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의회에서 물리적인 충돌을 없애면서 보육대란을 멈출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직무대리 동안 거의 잠을 잘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4개월이라는 단기간이라도 보육대란을 해소할 수 있어서 다행"이라면서도 "정부에서 누리예산이 내려와야 근본적으로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런 의사를 강력하게 표시해 정확하게 해결 방향을 가리키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9대 도의회 전반기 부의장인 그는 제3·4대 고양시의회에서 활동, 지난 제8대 도의회에 초선으로 입성해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이런 그는 '포기하지 않고 계획하고 끝까지 추진하면 꿈꾸는 대로 이루어진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20여년 전, 그가 시민단체 활동부터 시작해 오늘까지 한 걸음씩 걸어온 길에서 흡수된 자연스러운 믿음이다.

서른 여섯살이던 98년에 그는 고양시의원 후보로 거론됐다. 당시 정당 경험도 없이 시민단체 활동만 했을 때다.

그는 '떨어져도 괜찮아'라는 마음으로 여성이 지방자치단체에 진출할 수 있는 '시작점'을 만드는 것만으로도 보람이었다.

준비기간도 짧아 여성 자원봉사자들이 시민단체 활동하듯이 열정으로 함께했다. 선거캠프 사무원들은 본인이 인건비를 받아야 하는 지도 모를 정도였다. 법정선거비용의 절반도 사용하지 않아 선관위에서 의아해하기도 했다.

시의원이 된 그에게 '전설적 시의원'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당시 김 부의장은 '러브호텔 반대 운동'을 추진했다. 학교로부터 일정거리 내에 유흥업소 등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그는 "여성 단체, 시민단체로 접근했다면 해결하는데 무척 힘들었을 것"이라면서 "정치인은 하나의 기관으로 매개역할을 할 수 있다. 사람들을 연계해 해결방법 찾기를 힘있게 끌고 갈 수 있는 역할이 가능했다"고 회상했다.

1998~2002년 고양시 택지개발이 추진될 때, 택지개발 행동부대원(?)에게 "집을 쑥대밭으로 만든다", "밤길 조심해라"는 등 협박도 많았다.

그는 정치인이 원칙을 지키는데 얼마나 위험요소가 있는지를 그때 절실히 체감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의 원칙으로 시공사는 500억원을 추가로 부담, 도민의 혈세가 새는 것을 막게 됐다.

김 부의장은 "정치를 하고 있는게 행복하다.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일 중 가장 잘한 일"이라며 "'저 사람이라면 든든하다'는 믿음을 주는 정치인으로 남고 싶다"고 밝혔다.


/이경 기자 leek@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