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장애인 자립.'

최근 장애인들에게 화두인 이 말 속에는 여러 의미가 담겨 있다. 장애인 일자리와 교육, 복지가 맞물려 돌아가야 가능한 일이다.

인천시도 최근 장애인 자립과 관련한 자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장애인 자립 체험홈을 2곳 설치했고 지난해부터 장애인 2, 3급에 장애인 활동 보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장애인들이 혼자 살아가는 일은 전쟁과 같다.

이들을 가로막는 가장 큰 난제는 역시 '생계' 문제다. 시설이나 집 밖으로 나가면 가장 먼저 실감하는 것이 경제적인 어려움이다.

한 장애인생활시설에서 10여 년을 지냈다는 한 장애인은 "시설에서 나가고 싶어도 먹고 살게 걱정이라 나갈 수가 없어요"라고 어려움을 호소한다. 몇 년 전에 일반 기업에 고용돼 일을 해보기도 했지만 급여는 몇 십만 원에 불과했다.

장애인 복지가 여전히 보편적 복지가 아닌 1, 2급 장애인이라는 것을 증명해야만 가능하다는 점도 이들이 쉽게 밖으로 발을 내딛는 데 힘들게 만든다.

장애인 취업과 관련한 정책은 보건복지가족부가 지원하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추진하는 사업 정도다. 직업재활시설은 수익 창출의 압박을 받고 있어 장애인들의 일자리 창출에 얼마나 역할을 할 수 있을 지 미지수다.

이런 가운데 19일 인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장애인들을 직접 고용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을 설립한다는 계획은 반갑다. 아직 997개 회원사들과의 합의는 나중으로 미룬 채 발표를 서두른 탓에 자칫 공허한 구호로만 그칠 수 있는 위험도 안고 있다.

하지만 미흡할지라도 사용자 측이 장애인 고용을 고민하고 있다는 점 자체가 전향적이다.

1년 간 장애인 기업 설립을 추진해 온 이인석 인천상공회의소 부회장은 "비장애인이 일자리를 얻는 데도 어려운 때에 장애인들에게 일자리를 내달라고 기업을 설득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이를 꼭 이뤄내 기업과 시민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겠다"며 "인천시도 장애인 고용에 같이 고민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장애인들이 시설에만 갇혀있는 시대는 지났다. 우리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그들에게도 기회를 줘야 한다.

30번 째 장애인의 날이다. 장애인들과 함께 일하는 사회가 요원한 것은 결코 아니다.
 
/소유리 사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