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활동이 전개되면서 '저탄소 녹색성장'이 국가발전의 새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았다. 이제 '저탄소 녹색성장'은 지구온난화와 에너지위기를 극복하고 신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피할 수 없는 대안이 된 것이다.

우리나라도 최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공공과 민간부문에서 구체적인 실천계획들이 쏟아져 나오는 등 저탄소 녹색성장에 동참하는 각계의 발걸음이 분주해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지식경제부는 이달 14일 시행예정인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근거한 '녹색인증제'의 국민적 공감대 형성 및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지난 12일까지 전국 5개권역을 순회하며 사업설명회를 가졌다. 녹색산업 분야에 민간투자를 유인하고, 정부가 추진하는 녹색성장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유망 녹색기술 및 녹색사업, 녹색전문기업 등 적격 투자대상을 제시, 녹색금융 투자의 불확실성을 어느 정도나마 해소해 보겠다는 노력인 셈이다.

'녹색인증' 대상은 정부가 별도로 선정·고시하는 녹색기술, 녹색사업 분야로서 창업 후 1년이 경과된 기업 가운데 인증된 녹색기술에 의한 매출액비중이 총매출액의 30% 이상인 경우 녹색전문기업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친환경 제품의 신뢰를 정부가 나서 보증하겠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노력에도 공공기관들의 친환경상품 구매실적이 여전히 낮아 걱정이다. 이는 곧 정부 차원의 '저탄소 녹생성장' 붐 조성과 민간 주도의 자발적 시민운동으로 전이되는 과정에 찬물을 끼얹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친환경상품 구매를 소흘히 하거나 외면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참여를 유도하는 특단의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 주도로 지난달 25일 유관기관과 대학이 참여하는 '그린캠퍼스협의회'가 출범, 관심을 끈다. 국내 최초로 출범한 '그린캠퍼스협의회'는 경기도내 대학 50여곳과 경기도, 환경부, 에너지관리공단, 푸른경기21실천협의회 등이 참여, 다양한 그린캠퍼스 활동을 펼친다.

여기에 참여한 대학은 스스로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세우고 녹색커리큘럼을 만드는 등 자발적인 실천운동을 전개하고 환경부와 경기도는 이를 적극 지원하는 형식으로 운영된다. 이번 협의회 출범을 계기로 저탄소 그린캠퍼스 운동이 전국 대학으로 확산되는 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관광업계도 한국형 저탄소 녹색관광 상품 개발에 동참하고 나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달 24일 친환경 저탄소 녹색관광 상품 개발을 본격화 하기 위해 '녹색관광컨설팅단'을 구성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환경, 생태, 관광, 홍보, 문화 등 분야별 외부전문가 25명으로 구성된 컨설팅단은 지자체에 대한 컨설팅 및 모니터링을 통해 전국 주요 지자체 생태관광지 및 폐선철도 등을 친환경적인 녹색관광상품으로 육성하고, 그 결과를 개별 지자체 관광개발 사업비 지원에 반영, 참여를 적극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국내에 세계 최초의 '탄소배출 제로' 건물도 들어선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달 15일 인천시 서구경서동 종합환경연구단지에서 부지 4천900㎡에 지상 2층 규모로 기후변화연구동 건물 착공식을 가졌다. 이 건물은 자연채광, 단열, 고효율 냉·난방 기술 등 66가지의 기술로 에너지소비량을 최소화하고 태양열과 지열, 태양광 발전 등을 통해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 사용함으로 자체 사용전력량과 자체 생산하는 전력량을 합치면 거의 '0'에 가깝게 된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를 통해 절감되는 에너지는 일반가정 70가구가 연간 사용하는 전력량과 비슷하고 탄소배출 저감량도 연간 100t에 이른다고 한다.

이처럼 '저탄소 녹색성장'에 동참하는 사회 각계의 뜨거운 분위기를 이어가기 위해서라도 녹색금융 투자의 불확실성 해소와 민간부문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 위한 정부의 책임감 있는 결단과 실행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은 모든 사회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에서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안병선 경기본사 경제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