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언
앞으로 인천의 도시경영정책은 물류·제조 산업도시에서 금융도시로 갈 수밖에 없다. 이런 논거로 CMI(치앙마이 이니시어티브 다자화 공동기금) 본부를 인천으로 유치해 올 것을 제언한다.

작년 12월24일 한국·중국·일본과 아세안 10개국은 모두 1천200억 달러의 기금을 분담해 기왕에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등 5개국에서 780억달러의 통화스와프로 운영하던 CMI를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브루나이, 미얀마를 추가로 참가시켜 확대 운영키로 합의한 바 있다. CMI는 참가국이 금융위기 같은 달러 유동 부족사태가 발생할 경우 공동대처키 위한 자금으로, 이 기금을 운용하며 IMF(국제통화기금)에 대체하는 AMF(아시아통화기금) 창설로 확대 발전시킨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앞으로 CMI의 기금운용은 아시아경제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일본과 중국이 경합을 벌일 것으로 보여 CMI 본부가 설치되는 지역이 동아시아 금융중심지로 비상할 전망이다.

한국은 CMI본부 유치에 몇가지 잇점을 갖고 있다. 우선 한·중·일 3국이 참여하는 동아시아협력단체 상설사무국이 올 상반기 중 한국에 설치된다. 상설사무국 한국 설치결정은 지난해 베이징에서 열린 3국 정상회의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제안하고 중국과 일본의 동의로 이뤄졌다. 한국 72개 지방정부,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북한이 참여하는 '동북아시아 지방자치단체연합', '환황해권 8대도시회의', '환동해권 확대거점도시회의', '환동해권 4개도시 정상회의' 등이 1993년 일본 시마네현에서 시작됐으나 2009년 상설사무국을 한국 포항시에 두기로 합의했다.

이같은 지방정부의 대통합체는 투자협정이나 자유무역협정을 맺는 방향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CMI와 연관성을 갖고 있다. 또 CMI는 분담금 비중에서 일본과 중국이 각각 32%를 차지하고 한국은 16%를 차지하고 있어 한국이 의사결정의 캐스팅보트를 갖고 있다. 일본은 이를 의식하고 2006년부터 3년간 반대해 왔으나 결국 양보하기에 이르렀다.

지정적(地政的)으로 인천은 동아시아 중심지역에 있고 전 참가국을 6시간권으로 커버할 수 있으며 CMI의 이니시어티브를 갖는 한·중·일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국내 2대도시이다. 이런 긍정적 사정과는 달리 한국유치의 장해도 만만치는 않다. CMI는 태국 치앙마이에 본부를 두고 태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싱가포르·필리핀이 기왕에 운영해오던 경제협력체로 확대 설치라는 전제는 있으나 태국이 연고권을 갖고 있다.

중국이 상하이에 450억달러를 투자해 7천만명의 관람객 유치를 준비하는 상하이세계박람회도 야심찬 동북아경제허브 건설의 노림수임을 간파할 수 있다. 글로벌 경제체제 속에서 경쟁이 불타고 있는 동북아, 세계경제의 중심축이 이 곳으로 이전되고 있음을 실감하고 그만큼 험난한 어려움을 예상해야 한다.

이제 인천의 도시정책은 세계를 아우르는 금융허브 도시로의 비전을 바닥에 깔고 비약해야 발전의 길이 있다. 혹자는 인천을 동북아경제의 허브도시라고 부르고 있으나 인천에 세계경제기구가 단 한 곳도 없음을 눈여겨 봐야 하며 CMI본부 유치의 부가가치는 각설하고 사옥과 대지를 투척하는 용기가 수반돼야 하겠다.
 
/정의화 한중문화협회 부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