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용택 새얼문화재단 이사장의 중국기행 / 휘주(徽州)와 삼청산(三淸山) 4
▲잔도(棧道)로 사람을 부르는 삼청산(三淸山)

휘주 여섯 마을 중 유일하게 강서성에 속하고 주희의 선조가 살았던 무원을 지나 삼청산으로 달린다. 길을 닦고 포장을 했는데도 산 중턱을 넘기가 힘이 드니 예전에는 구절양장(九折羊腸) 같은 길이었으리라.

삼청산은 강서성 상요시(上饒市) 동북쪽에 있으며 천목산(天目山)에서 서남쪽으로 뻗어 나온 산줄기가 옥산(玉山)을 안고 있으니 이것이 곧 삼청산인데 높이는 해발 1820m가 된다. "2008년 7월 8일 새벽 5시18분에 삼청산이 제32차 세계문화유산대회에서 순리에 의해 '세계유산명록'에 등재되었다"며 이것은 강서성 사람과 더 나아가 전중국인민의 긍지라고 자랑한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이 순리에 의한 것이라 하면서 날짜, 시간, 분까지 기록하여 자랑하는 것은 그만큼 애타게 기다렸다는 반증이 아닐까. 산 밑에 다다르니 산은 높은데 비는 내리는 듯 마는 듯 한다.

줄기찬 비만 내리지 않는다면 미풍에 떠오르는 안개 속의 경치는 일품이리라. 패문을 새롭게 만들기에 한창 바쁘니 주위가 산만하다. 남산 삭도를 타고 오르는데 모든 것이 새롭게 만들어 진행 중이다. 내려서 걷는 길은 잔도가 대부분이다. 산허리에 잔도를 설치해서 오르기도 편리하고 이곳에서 바라보는 원경은 더욱 아름답다. 치솟은 산봉우리와 내려다보면 깊은 계곡, 또 여기에서 마주 보는 잔도가 또한 일품이다. 아마도 이 잔도가 삼청산의 또 다른 볼거리가 될 것이다.

산서성 고위 관리들이 이 삼청산을 관광지로 만들기 위해서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비롯해서 노력한 흔적이 여기저기 보인다. '중국삼청산'이라는 책에는 바위의 형태와 산의 모양을 따라 재미있게 이름을 붙여두고 있다. 거대한 돌기둥이 높이 솟아있는 것은 산에 오르는 사람은 누구나 볼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을 거망출산(巨出山)이라고 부른다. 큰 이무기가 산에서 돌출했다는 뜻이란다.

"관음상곡(觀音賞曲, 관세음보살이 노래를 즐기고), 해사탄월(海獅呑月, 바다사자가 달을 삼키고), 후왕헌보(王獻寶, 원숭이 왕이 보물을 바치고), 앙천장소(仰天長嘯, 하늘을 보고 길게 휘파람을 분다)"라고 하는데 실제는 큰 곰이 입을 벌린 듯하다. 작명하는 것은 주인의 고유권한인데 어떤 것은 제법 그럴 듯하게 보이기도 한다.

대체로 중국의 명산을 이야기할 때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태산은 웅위(雄衛, 웅장하고 위대하고), 화산은 준초(峻, 험하지만 준수하고), 형산은 연운(煙雲, 안개와 뭉개구름이 좋고), 여산은 비폭(飛瀑, 높은 언덕에서 내려꽂는 물줄기가 볼만하고), 황산은 기송(奇松, 기이한 황산솔)이 특색이라고 말하면서 중국산수화의 천연모본(天然摹本)이라고 자랑한다.

그렇다면 삼청산은? 기봉괴석(奇峰怪石, 신비한 산봉우리와 괴이한 바위), 규송두화(松鵑花, 용같이 휘어진 소나무와 두견화), 천폭용동(泉瀑溶洞, 폭포와 동굴), 운해신광(雲海神光, 바다같은 구름 위로 떠오르는 햇살)과 도교 건축물과 특이한 동식물이라고 자랑한다. 위에서 설명한 명산처럼 한 마디로 표현하지 못하고 긴 설명이 필요한 것은 어딘가 품격이 부족한 데가 있다는 증거라고 생각하는데 차라리 도교와 잔도가 특색이라고 내세우는 것이 어떨지. 예전에 서울에도 고급요정 삼청각(三淸閣)이 있었는데 도교 입장에서 보면 무엄한 일이다. 삼청이란 도교에서 인(人), 천(天) 양계 밖에 따로 삼청 즉 옥청(玉淸), 대청(大淸), 상청(上淸)을 두어 이곳을 신선이 사는 선경(仙境)이라고 하는데 일명 삼청진궁(三淸眞宮)이라고도 한다.

이곳에서는 갈홍(葛洪, 284-365)을 삼청산 개산조사(開山祖師)로 높이 모실뿐만 아니라 웅장한 삼청궁, 삼청궁 석패방 등 도교의 유물이 많이 있다. 또 갈홍 자신이 삼청산이라 명명하였고, 동천복지(洞天福地, 도교에서 일컫는 신선이 사는 명산승경)가 이곳이라고 주장했다. 이곳에서 수련하고 갈홍의 사상을 담은 '포박자(抱朴子)'를 저술하고 연단(煙丹, 신선이 되기위해 필요한 신약)을 만들어 옥화봉(玉華峰) 오선대(悟仙臺)에서 신선이 되어 하늘에 올랐다고 하니 도교와 갈홍과 삼청산은 셋이 아니고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갈홍은 소년 시절에 집안이 쇠락하여 가난하게 살았지만 선천적으로 총명하였던 데다 주경야독으로 학문을 깊이 연구했다. 그는 '포박자' 서문에서 자신은 진취적인 재능이 부족해서 단지 연단이나 도를 닦는 것만 즐긴다고 했으며 부귀영화를 추구하는 벼슬에는 흥미가 없고 가난하게 살더라도 마음 편하게 학문을 깊이 탐구하겠다고 했다. 소찬에도 진수성찬의 감미로움이 있으며 가난한 집에서도 휘황한 궁전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또 도나 학문에 조예가 깊은 사람이라면 아무리 먼 곳이라도 반드시 찾아갔다고 했다. '진서(晋書)'에는 갈홍의 저술이 반고(班固, 32-92)나 사마천(司馬遷, BC145?-BC86?) 보다 더 많고 대체로 논리가 정연하고 분석이 정밀하다고 평했다. 도교의 기본 교의는 갈홍을 거쳐 비로소 "태평을 이루는 것"으로부터 "신선이 되는 것"으로 또 "세상을 구하는 것"에서 "세상을 넘어서는 것"으로 완성되었다.

도교는 육체를 초월하여 죽지 않고 신선이 되는 것이 기본적인 특징인데 이러한 사상은 갈홍에 의하여 완성된 것이다. 그러나 한 편 갈홍의 이론에서 과학적인 사상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는 불로장생을 위한 수련과정에서 양생학, 기공학, 의학, 약학, 화학 등의 분야에서 중국 과학기술 발전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고, 후세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갈홍의 "만물은 변한다"는 사상은 눈여겨 볼만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