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엔 소수민족이 많다던데
경제성장 그늘에 가려 '박탈감'

1억명 넘는 소수민족


중국은 한족(漢族)을 포함, 총 56개의 민족으로 이루진 다민족 국가다.
하지만 구성 비율로 볼 때 한족이라는 절대 다수의 민족이 전체 민족 구성의 약 92%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정작 우리가 중국이라는 나라를 처음 들었을 때 연상되는 민족과 문화는 한족을 중심으로 하는 한족 문화를 떠올리곤 한다.
그러나 비록 8%에 지나지 않는 소수 민족이라도 총 인구는 1억 명을 넘어 남한 인구의 두 배를 넘는다.
또한 각 민족마다 문화적 특수성은 갖고 있음은 물론 신장(新疆)지역과 시짱(西藏)지역 일대의 소수 민족의 경우 분리 독립 움직임도 줄 곧 있어 왔다.
때문에 중국은 신중국 건국 이후부터 지금까지 소수 민족 정책에 대해 많은 공을 들여왔던 것이 사실이다.

시기별 민족 정책도 제각각

중국의 소수 민족 정책을 시기별로 나누어 보면 그 첫번째 단추를 꿰맨 사람은 마오쩌둥(毛澤東)이다.

마오쩌둥은 당시 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에 민족 간부를 양성하고 오늘날 자치구의 뿌리가 되는 민족 지역자치구를 설정함은 물론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민족 이론에 대한 연구를 허용하는 등 소수 민족 정책의 토대를 마련한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문화 대혁명의 광풍 속에서 민족 조직과 민족 간부 등은 당시 중국 전역이 경험했던 것처럼 파괴되고 탄압을 받는 고난의 시기를 겪기도 한다.

그 후 1976년 마오쩌둥 사후 권력의 정점에 오른 덩샤오핑(鄧小平)은 78년 개혁 개방을 시작으로 당시 중국의 경제적 변화의 바람을 소수 민족지역에도 응용하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

이러한 실용주의 노선은 3세대 지도부인 장쩌민(江澤民)시대에까지 이어지게 되는데 그 결과 소수 민족지구에도 제한적인 경제적 발전을 가져오지만 한족이 주로 거주하는 동부 연안을 중심으로 하는 불균형 개발 전략은 많은 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서부 고원지대 및 북부 초원지대 등 비교적 기초 인프라 건설이 어렵거나 연안과 거리가 먼 지역에 상대적 박탈감을 키워 소수 민족 자치지역을 경제 발전의 그림자로 만들고 말았다.

비록 후진타오(胡錦濤)를 중심으로 하는 현 4세대 지도부가 '조화로운 사회'를 강조하며 미개발된 서부지역 일대에 중국 1년 예산의 70%를 쏟아 부으며 서부 대개발 사업을 실행하고는 있지만 지역 경제 개발에 따른 혜택이 소수 민족에게 얼마만큼 돌아갈지는 미지수다.

일부에서는 서부 대개발사업의 일환인 서기동수(서부지역의 천연가스 자원을 동부지역에 공급)를 예로 들며 결국 개발 사업에 따른 경제적 파이는 한족과 그들이 거주하는 동부지역이 차지하는 것이 아니냐는 식의 불만이 나오기도 하니 아직도 중국 내 소수민족 문제는 갈 길이 먼 것 같다.

/글=박정동 소장·박재정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