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불평등 바이러스'로 변이했다. 이미 우리 경제와 사회는 불평등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다. 저학력·저임금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들은 소득을 잃거나 빈곤에 빠졌다. 통계청의 지난해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3만7000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 감소했다. 같은 기간 2분위의 소득도 1.3% 줄었다. 반면 자산을 가진 계층의 자산은 늘었다. 지난해 3분기에 소득 5분위(상위 20%) 계층의 소득이 3% 가까이 증가했다.

이 때문에 대표적인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도 악화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원 수별로 나눈 가처분소득을 1분위와 5분위 대비로 비교하는 지표다. 수치가 오르면 분배의 악화를, 수치가 내리면 분배의 개선을 의미한다. 3분기 중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88배였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분위보다 4.88배 많다는 의미다. 이는 2019년 3분기의 4.66배보다 0.22배 오른 수치다.

이러한 격차는 넘치는 유동성으로 부동산이나 주식 등 자산 가격이 크게 오르다 보니 자산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간에 발생했다. 또 다른 영향으로는 취업의 제약과 실업이다. 경인지방통계청이 지난달 13일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경기도 고용동향'에 따르면 경기도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20만8000명) 이후 22년만에 취업자수가 감소했다. 최근 4년간 3%대를 지켰던 실업률도 4%로 상승했다. 고용 지위가 불안한 임시직노동자일수록 일자리를 잃었다. 혹은 취업을 하더라도 단기일자리에 머물렀다.

전국 소상공인 카드 결제 정보를 관리하는 한국신용데이터가 지난달 13일 내놓은 '지난해 12월 마지막 주(2020년 12월28일∼2021년 1월3일) 경기도 소상공인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의 66% 수준이다. 매출이 34% 감소한 것이다. 이마저도 경기도 재난기본소득과 정부 재난지원금 지급, 각종 소상공인 대출 지원 등 재정이 투입된 결과다.

문제는 사회적 약자일수록 회복이 더디다는 것이다. 국제구호개발기구인 옥스팜(OXfam)이 지난달 24일 '불평등 바이러스(The Inequality Virus)' 보고서를 통해 세계적 억만장자들이 팬데믹 이전 수준의 재력을 회복하는 데는 단 9개월이 걸렸지만, 최하위 빈곤층이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데는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이 때문일까? 경기도 '2차 재난기본소득' 신청이 시작된 1일, 52만여명이 몰렸다. 온라인 신청 사이트에 접속자가 몰리면서 한때 먹통이 발생하는 등 혼선이 빚어졌다. 빈부격차가 큰 사회는 건강할 수 없고, 시민의 절망은 언젠가 사회적 폭발로 돌아온다.

이제 정부가 거리두기 단계 지속과 같은 방역 대책처럼 불평등 바이러스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특히 '뉴노멀 2.0'으로 명명되는 패러다임 전환기에 맞는 방식으로 제도나 정책을 바꿔야 한다. 무엇보다 공생·공존을 위한 틀을 새로 짜야 한다.

/최남춘 경기본사 정경부 기자 baikal@incheonilb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