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발 고용 위기가 점점 심각해진다. 코로나19에 힘겹게 버티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해 헤매는 이들은 막막하다. 코로나19는 시민들에게 무기력과 우울함을 넘어 생계마저 위협한다. 업체에선 코로나에 따른 경영 위기를 이유로 구조조정에 나서는가 하면, 일감이 없는 노동자들은 사실상 '실직 상태'를 피할 수 없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길거리에 나앉을 실업자의 증가는 뻔하다.

역대 최대를 기록한 작년 실업급여 지급액은 노동환경 악화를 실감케 한다. 고용노동부 집계를 보면, 지난해 1∼12월 실업급여 지급 총액은 11조8507억원에 달한다. 앞서 최대치였던 2019년 8조913억원을 크게 웃도는 액수다. 인천에서도 지난해 1~3월 3만명대였던 실업급여 수령자가 4월 처음으로 4만명대를 돌파한 후 7월엔 4만8409명 최대치를 찍었다. 지금도 4만명대를 벗어나지 못한다. 인천지역 실업자 수는 코로나19 직접 영향권인 작년 3월 8만3000여명으로 껑충 뛴 뒤 조금씩 줄어 하반기엔 7만명대 초중반 수준을 보였다.

인천의 실업률이 높은 이유는 영세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구조와 맞물려 있다. 재난은 언제나 취약한 고리부터 건드리기 마련이다. 인천지역 사업체 종사자는 2018년 기준 총 107만454명으로, 이 중 24만7361명(23%)이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노동자 4~5명 중 1명은 여기서 일하는 셈이다. 그런데 지역 제조업체들은 대부분 영세하다는 데 문제점을 내포한다. 직원 1~4명인 제조업체가 전체의 절반을 훨씬 넘는 구조다. 50인 미만 제조업체도 전체의 95% 이상을 차지할 만큼 영세한 정도가 크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19는 각계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어느 곳보다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와 소규모로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이 걱정이다. 정부와 지자체에선 이들을 위해 각종 처방전을 내밀고 있지만, 한참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들이 생계를 우려할 형편이라면,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실업급여 '사각지대'가 큰 현실을 고려할 때, 실업급여를 받지 못하는 실업자에겐 긴급 실업수당 도입 등이 시급하다. 나아가 코로나 위기 긴급 고용정책을 보편적인 '고용안전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다간 더 큰 국가적 재난에 직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