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음식 배달업 '코로나 호황'
지난해 택배노동자 16명 과로사
업무상 상해 많은데도 자비 치료
▲ 지난 18일 남동구 인천시청 앞에서 민주노총 인천본부 관계자들이 택배노동자 총파업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있다. /인천일보DB

지난 18일 인천시청 앞에는 '더이상 죽이지 마라'는 현수막을 단 우체국 택배 차량들이 일렬로 줄지어 멈췄다. 코로나가 휩쓸고 간 지난 한 해, 전국에서 택배노동자 16명이 과로사로 목숨을 잃었다. 또 다른 죽음을 막기 위해 택배노동자들이 처우 개선과 총파업을 예고하며 시청 앞에 모인 것이다.

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든 2020년이었지만 득을 본 이들도 있다. 택배 업체가 대표적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강은미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2~7월 평균 택배 물동량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24% 뛰었다.

하지만 업계 호황에 따른 이득은 노동자들에게까지 돌아가지 않았다. 택배 노동자들은 고유 업무인 배달이 아닌 택배 분류 작업에 반나절을 보내고 있는 환경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고, 택배 대리점 관리비 등을 택배 노동자들에게 전가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인천 택배 노동자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다가오는 설이 무섭다. 1주 71시간 노동, 하루 560개 택배를 분류하고 313개를 배송하는 택배 노동자의 삶은 나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택배 못지않게 코로나 호황을 누리는 업종은 음식 배달업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한 달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5조631억원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17.2%(2조2110억원) 늘었다. 이 중 배달음식을 뜻하는 '음식서비스' 항목 매출은 1조6393억원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6188억원 급증했다.

이처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음식 배달, 택배 등을 제공하는 일명 '플랫폼노동자'들이 코로나 비대면 문화 확산과 함께 급격히 늘면서 저임금·고위험에 노출된 이들의 노동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플랫폼 종사자 보호 대책'에 따르면 전국 플랫폼 종사자는 넓은 의미로 볼 때 179만명(취업자의 7.4%), 좁은 의미로 보면 22만명(취업자의 0.9%)에 달한다. 지난해 12월 기준 인천 취업자 수가 153만3000명임을 감안하면 인천 플랫폼 노동자 수는 넓게는 11만3000여명, 좁게는 1만4000여명으로 추정된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019년 11월 '플랫폼노동 종사자 인권상황 실태조사'를 통해 “플랫폼 노동 수익이 개인 소득의 75%, 가구 소득의 80%에 달한다”며 “음식배달, 대리운전, 퀵서비스 등 호출형 이동노동자들이 업무상 상해를 많이 입고 또 그것을 자비로 치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주영·김원진·이창욱 기자 chuk@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