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강현 의원, ‘김포시 한글시랑 지원’ 조례 사문화됐다

김포시의 ‘한글사랑 지원’ 조례가 유명무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강현(사진) 의원은 제574돌 한글날 이후인 지난 16일 열린 제205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2014년 제정된 ‘김포시 한글사랑 지원 조례’에도 아트빌리지, 아트홀, 에코센터, 클린도시사업소, 브리핑룸 등의 김포시 공공기관 명칭과 신설부서 명칭을 보면 김포시가 외래어를 앞장서 쓰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대부분의 지자체가 클린이라는 용어보다 청정, 맑은, 깨끗한 등 우리말을 쓰고 있고, ‘상하수도사업소’도 성남시, 포항시, 의정부시, 경주시 등은 ‘맑은물사업소’로 쓰는 등 부서명을 우리말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한글사랑에 대한 무관심과 인식 부족을 질타했다.

오 의원은 또 “각 부서에서 의식 없이 사용되는 ‘가건물’, ‘간담회’, ‘견본’, ‘수취인’, ‘순번’, ‘행선지’, ‘잉여’ 등 아직도 일본어 투 용어를 쓰고 있다”며 “이를 각각 ‘임시 건물’, ‘정담회 또는 대화모임’, ‘본보기’, ‘받는 이’ ,‘차례’, ‘가는 곳’, ‘나머지’ 등으로 순화해 써야 한다”고 했다.

겉돌고 있는 ‘국어책임관’ 제도에 대한 문제점도 거론했다.

오 의원은 “국어책임관은 국어기본법(제10조)에 따라 공공 기관의 국어사용 환경 개선을 위해 도입돼 ‘김포시 한글사랑 지원 조례’에도 명문화돼 있지만, 시민들은 물론 김포시공직자 대부분이 국어책임관이 누구인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조차 모르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어책임관이 당연직으로 운영돼 비전문가인 문화관광과장이 맡아 역대 문화관광과 과장들이 과연 국어책임관으로서 역할을 다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국어 관련 자격이 있거나 전공한 공무원이 맡도록 해 국어책임관제를 보완해야 한다”고 했다.

마을, 산, 다리 등에 대한 우리 고유의 이름을 찾는 일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일제 강점기와 산업화, 도시화로 의미 있고 예쁜 고유한 이름을 김포시도 수없이 잃어 왔다”며 “고유한 원래 이름을 찾아줘 지역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새롭게 이름이 필요한 곳에는 과거 연원을 찾아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 이름을 짓고 써야 한다”고 말했다.

오 의원은 “공공기관의 공공언어는 사회 전체의 언어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외래어보다는 우리말을 사용하고, 일제 잔재 용어를 청산하는 한글 사랑을 행정에서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총 14조로 구성된 ‘김포시 한글사랑 지원조례’는 국어기본법에 따라 김포시민의 한글사용 촉진과 한글 발전 및 보전 기반 마련 등을 위해 한자어, 일본식 한자어, 외국어 및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려 있지 않은 낱말 사용 자제와 쉬운 우리말을 사용을 위한 시의 책무 등을 규정하고 있다.

/김포=권용국 기자 ykkwun@incheonilbo.com